
수능 가채점이 끝났다면 이제는 정시 지원까지 어떤 대학·학과에 지원할지 전략을 세울 시기다.
정시 모집 지원 시 가장 고려해야 할 것 중 하나는 '모집군'이다. 6번의 지원 기회가 있는 수시와 달리 정시는 3번만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같은 모집군에 중복 지원이 불가능하고, 가·나·다 세 개의 모집군별로 1번씩만 지원할 수 있어 원서 접수 전 어떤 모집군에 지원할지 전략을 잘 짜야 한다.
일부 대학을 제외한 대학은 복수 모집군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같은 대학이라 해도 학과, 학부 등 모집 단위에 따라 모집군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가군에는 주로 서울 주요 대학 및 상위권 대학이 밀집해 있다. 경희대, 고려대, 연세대, 중앙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한양대 등이 가군에서 학생을 선발한다. 많은 대학이 포진해있는 만큼 선택지가 다양하다는 특징이 있지만 그만큼 지원자가 많을 수 있다.
나군 역시 가군만큼 주요 대학이 많이 포함돼 있다. 나군의 주요 대학은 서울대, 서강대 등이 있고, 가·나군 모두에서 학생을 선발하는 건국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등은 가군보다 나군 선발 인원이 더 많다.
다군은 가·나군에 비해 모집 인원이 상대적으로 적다. 서강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중앙대, 동국대 등이 다군에서도 학생을 선발한다. 모집 인원이 적어 경쟁률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상위 대학에 합격한 학생이 등록 포기하는 사례가 많아 충원 합격자가 많이 나오는 모집군이기도 하다.
2024학년도와 2025학년도에는 주요 대학이 다군에 모집군을 신설했다. 2025학년도 정시 모집에서 고려대는 학부대학을 다군에서 모집해 눈길을 끌었다. 보통 상위 대학과 다르게 고려대 다군 경쟁률은 70대 1에 육박하는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한양인터칼리지학부를 다군에 신설해 모집했던 한양대도 2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2026학년도에는 다군에서 선발했던 고려대 학부대학 모집을 가군으로 이동했다. 역시 다군에서 선발했던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도 올해부터는 나군 선발한다. 가군에 있던 한양대 의예과는 나군으로 이동했다는 점도 수험생이 유의해야 할 부분이다.
다군에 신설되는 모집 단위도 있다.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 서울시립대 지능형반도체전공은 가군에서 다군으로, 동국대 경영학과, 서강대 SCIENCE기반자유전공학부, 이화여대 간호대학 등은 나군에서 다군으로 이동해 학생을 선발한다.
모집군이 달라지면 지원자의 지원 패턴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는 경쟁률, 충원율, 합격선에도 영향을 준다. 지원하고자 하는 모집 단위의 모집군 변화가 있다면 비슷한 성적대의 모집 단위나 지난해 자료 등을 세밀하게 따져봐야 한다. 2025학년도 기존 나군에서 다군으로 모집 단위를 이동했던 성균관대 글로벌경영학과의 충원율은 970%에 육박했다. 다군 신설 고려대 학부대학은 2000%를 넘기는 기록적인 충원율을 보였다. 올해 고려대 학부대학에서 이 같은 충원율을 기대하긴 어렵다.
김원중 강남대성 입시전략실장은 “올해 한양대와 성균관대에서 모집군 이동이 많은데 이전 모집에의 입결만 놓치는 경우가 생긴다”며 “지원 전 충분한 시간을 갖고 전년도 입결, 충원율 등을 파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김 실장은 “가·나군에서 공략을 하되 올해 다군이 예년보다 모집 인원이 많아서 컷이 낮아질 수 있다”면서 “보통 가·나군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지만, 유의미한 카드가 될 수 있는 다군 카드도 공략을 잘하면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지희 기자 easy@etnews.com
![[에듀플러스]“2026학년도 정시 합격선 예측 불가…대학 81곳, 지난해와 전혀 다른 방식으로 공개”](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3/news-p.v1.20251113.8042fa46de0c443ca165bb39303e3eca_P1.jpg)

![[에듀플러스]에듀윌 편입, '에듀윌 편입 신촌학원' 그랜드 오픈 '소수정예 밀착 관리'](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4/news-p.v1.20251124.e74dc8f290c1446bb285d30a406d22dc_P2.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