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 '수면의 과학'
'취미는 과학', '수면, 나는 어떻게 자야 하나?'
쿠팡의 새벽 배송도 수면 장애의 한 요인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한국은 '수면 부족 국가'라는 오명을 벗기 어렵다.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30분 내외로, 일본과 함께 세계 최하위권에 속한다. 최근 대한민국 수면 장애 환자가 130만 명을 넘어섰다. 수면 장애의 원인으로 스마트폰, 야근, 스트레스 등이 지목된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쿠팡의 새벽 배송도 수면 장애의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요인들은 현대인의 일상에서 떼어내기 어렵다. 그렇다면 우리는 건강을 위해 수면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잠이란 대체 뭘까? 현대인의 피로와 스트레스가 만성화되는 가운데, EBS가 '수면'에 대한 과학적 해법을 제시하는 두 편의 프로그램을 연이어 선보인다.
▲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 야나기사와 마사시의 '수면의 과학'
6일~13일 평일 밤 11시 40분, EBS 1TV에서는 수면의 비밀을 푸는 세계적 석학인 야나기사와 마사시 일본 츠쿠바대 교수가 출연한다. 수면과 각성의 메커니즘을 조율하는 물질 '오렉신'을 발견한 인물로, 기면증과 불면증 등 수면 장애 치료의 새 길을 연 과학자다.
그는 이번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 시즌5에서 '수면의 과학'이라는 주제로 6회에 걸쳐 강연을 진행한다. 수면 주기의 기능과 역할, 수면 압과 생체 시계의 관계, 수면 부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오렉신 발견의 연구적 배경 등 수면의 핵심 원리를 과학적으로 풀어낸다.
수면은 아직 그 근본 원리가 밝혀지지 않은 수수께끼로 가득한 분야라며 운을 뗀 야나기사와 교수는 1강에서 3강에 걸쳐 수면 주기의 기능과 역할, 수면 압과 생체 시계의 작용, 수면 부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조명한다. 4강에서는 각성 조절 물질인 오렉신을 발견하게 된 연구적 배경과 이를 통해 규명된 기면증의 발병 원인, 나아가 최신 수면 연구 동향을 다룬다. 5강에서는 수면 다원 검사(PSG)를 기반으로 한 객관적 수면 평가와 주관적 평가 지표를 비교·분석해 수면의 의학적 중요성을 조명하고, 마지막 강의에서는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숙면 실천법을 소개한다.
야나기사와 교수는 "한국도 일본처럼 수면 부족 국가라는 점이 걱정된다"며 "이번 강의가 한국 시청자들에게 수면의 중요성을 깨닫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프로그램은 수면의 과학적 이해뿐 아니라, 숙면을 위한 실질적 방법과 최신 수면 연구 동향도 함께 다룬다.
▲ '취미는 과학', '수면, 나는 어떻게 자야 하나?'
수학이 찾은 '최적의 수면 공식'은 뭘까. 7일 밤 10시 50분 EBS 1TV에서 방송되는 과학 토크쇼 '취미는 과학'이 수면을 주제로 시청자를 만난다. MC 데프콘이 성균관대 이대한 교수, 광운대 장홍제 교수, KAIST 김재경 교수, 과학 커뮤니케이터 항성과 함께 '최적의 수면'을 탐구한다.

김재경 교수는 단 1분 만에 수면 질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을 개발해 주목받았다. 9개 문항의 설문만으로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이 기술은 수면 다원 검사의 한계를 극복한 혁신적 시도로, 프로그램에서는 그 수학적 원리와 실제 적용 과정을 흥미롭게 풀어낸다.
우리나라 전체 근로자 중 교대 근무자의 비율은 약 15~20%다. 그러나 세계 보건 기구(WHO)가 주요 발암 요인으로 분류했을 만큼, 교대 근무는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친다. 밤낮이 불규칙할 수밖에 없는 이들이 개운한 하루를 보낼 방법은 없을까? 방송에서는 월 평균 수면 시간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이들의 각성도를 눈에 띄게 높인 연구 결과가 소개된다. 핵심은 '언제, 어떻게 자느냐'에 있다는데. 교대 근무자들에게 최적의 컨디션을 찾아 준 수학적 해답은 무엇일까?
또한 '주말 몰아 자기'의 맹점, '쇼트 슬리퍼(Short Sleeper)'의 유전자 비밀, 교대 근무자들의 수면 리듬 개선 연구 등 현대인의 다양한 수면 고민을 과학적으로 접근한다. "잘 자는 것은 곧 잘 사는 것이다"라는 메시지 아래, 프로그램은 시청자들에게 실질적인 수면 관리법을 제시한다. 이들 두 프로그램은 단순한 건강 정보가 아닌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수면의 본질과 실천적 대안을 제시한다. oks34@newspim.com






![“너는 절대로 하면 안 된다”… 할아버지와 아빠가 ‘이것’에 걸린 원인은? [수민이가 궁금해요]](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20251106502641.jpg)
![[신간] 우울과 경청 등 5권](https://www.domin.co.kr/news/photo/202511/1534511_732497_42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