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격을 잃지 않는 멜랑콜리

2025-04-06

밴드 이름은 ‘일본식 아침’인데, 한국인이다. 정확하게는 한국인 피가 흐르는 미국인이다. 생소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재패니즈 브렉퍼스트’로 활동하는 미셸 자우너(사진)는 미국에서 꽤 큰 존재다. 그 유명한 ‘지미 팰런쇼’에 출연하고, 오바마와 코난 오브라이언이 그의 책 를 향해 찬사를 보냈다. 미셸 자우너는 탁월한 뮤지션이다. 감정을 섬세하게 짚는 그의 음악과 노랫말은 이미 세계적인 입지를 단단하게 굳혔다. 무명에 가까운 인디였던 미셸 자우너는 어느덧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그래미 후보에 오른 음악가다.

재패니즈 브렉퍼스트가 4집 ‘포 멜랑콜리 브루넷츠 & 새드 위민’(For Melancholy Brunettes & sad women)을 막 발표했다. 음반의 정서는 제목 그대로다. 멜랑콜리다. 그러나 미셸 자우너의 멜랑콜리는 너무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다. 이 점이 중요하다. 뭐랄까. 이것은 삶의 온도로 딱 적당한 과잉 없는 멜랑콜리다. 눅눅한 비련과는 거리가 먼 멜랑콜리다. 끝내 품격을 잃지 않는 멜랑콜리다.

다채로운 이야기가 미셸 자우너의 멜랑콜리 월드를 수놓는다. 세이렌의 유혹을 소재로 한 ‘올랜도 인 러브’(Orlando in Love)에서 그는 영롱한 사운드에 유려한 현악을 더해 풍성함을 길어 올린다. ‘메가 서킷’(Mega Circuit)에서는 컨트리 선율로 불안한 사랑을 노래하고, ‘레다’(Leda)에서는 신화 속 인물 레다를 끌어와 일상의 세계에 안착시킨다. 또 ‘멘 인 바스’(Men In Bars)에서는 배우 제프 브리지스의 근사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음악가이자 작가인 미셸 자우너에게 세계는 곧 이야기의 보고(寶庫)이다.

그렇다. 그는 마치 이야기가 세상으로 나오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기관 같다. 미셸 자우너라는 수원지에 푹 담갔다가 건져내면 무엇이든 이야기가 되고, 음악이 된다. 그의 이번 4집 앨범이 다시금 증명한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