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부터 제주 강정항 준모항으로 운영
관광객 모객 후 크루즈 여행 출발지

오는 5월부터 제주 강정항에서 내국인 관광객을 태우고 해외로 출발하는 크루즈가 운항된다. 그간 내국인이 크루즈 관광을 즐기기 위해서는 항공편으로 중국, 일본 등으로 이동한 후 현지에서 크루즈 여행을 시작해야 했다.
제주도는 서귀포시에 있는 강정항을 크루즈 여행이 시작되는 항구인 ‘크루즈 준모항’으로 5월부터 운영한다고 31일 밝혔다.
그간 제주항이나 강정항은 크루즈선이 일시 정박하는 기항지로 운영됐다. 크루즈 승객이 일시 하선해 4~6시간 안팎의 짧은 관광이나 쇼핑을 즐기고 다시 떠나는 형태였다.
이번에 도입되는 준모항은 모항과 기항항의 혼합 형태로, 지역에서 승객을 모객한 후 태우고 크루즈 여행을 시작할 수 있다. 수하물도 싣고 내려야 해 관련 시설도 갖춰야 한다.
도는 제주에서 출발하는 크루즈 여행이 도입되면 내국인의 크루즈 관광 편의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크루즈 승선 전후 제주를 함께 여행하는 수요도 생겨 지역경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 출발 크루즈는 중국 국영선사인 아도라크루즈의 13만5000t급 ‘아도라 매직시티’호다. 오는 5월1일부터 상해~제주~일본을 잇는 크루즈 운항을 시작한다. 모항인 상해에서 출발해 준모항인 제주에서 60~120명의 내국인을 태우고 일본, 상해를 거쳐 다시 제주를 찾는 4박5일 또는 5박6일 일정이다. 연말까지 33회 운항한다.
여행사에서 해당 상품의 크루즈 관광객을 모집 중이다. 도 관계자는 “그간 내국인들은 해외로 이동 후 크루즈 여행을 시작하는 ‘플라이 앤 크루즈’ 방식을 이용해야 했다”면서 “전세성 크루즈 이외에 정기적인 국내 출발 크루즈는 제주가 처음으로, 여행사에서 모객한 결과 이미 매진된 일정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도는 해양수산부, 출입국 절차를 담당하는 세관·출입국·검역(CIQ) 기관, 해운조합과 준모항 운영을 위한 협의를 마쳤다. 신속한 출입국을 위한 무인자동심사대 설치도 진행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현장 시뮬레이션을 실시 중”이라면서 “제주의 특색있는 관광 프로그램도 개발하고 관광객 편의시설도 대폭 확충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는 앞으로 제주 직항 항공편을 이용하는 외국인 관광객으로 대상으로 범위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제주시에 있는 제주항으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오상필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제주 출발 정기 크루즈가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자리잡아 지역 소비를 늘리고, 크루즈 산업과 지역경제 발전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면서 “제주 출발 크루즈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준모항 크루즈 운항 주관 여행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누리집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 방문 크루즈선과 관광객은 2023년 71회·10만1000명, 2024년 274회· 64만1000명이다. 올해 346회·80만명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