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민관합동조사단 꾸려 현장 조사
KT "추가 피해 차단·개인정보 유출 없어"
인증 체계 취약성 드러나…재발 방지 대책 주목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KT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소액결제 피해가 잇따르면서 정부와 KT가 긴급 대응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원인 조사에 착수했고, KT는 침해사고를 신고하고 추가 피해 차단과 고객 보호 조치에 나섰다.
9일 KT와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경기 광명과 서울 금천 지역을 중심으로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새벽 시간대에 소액결제 피해가 집중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본인 인증 앱 '패스(PASS)'와 카카오톡 계정이 임의로 조작되거나, 인증 문자를 받지 않았는데도 결제가 진행된 사례가 확인돼 인증 체계 취약성 우려가 제기됐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을 단장으로 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했다. 조사단은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관계자, 민간 보안 전문가로 꾸려졌으며 KT 시스템을 현장 점검해 원인 분석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전날 오후 KT로부터 침해사고 신고를 접수한 뒤 자료 보전을 요구하고, KT 우면동 사옥을 방문해 상황을 확인했다.

KT는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상품권 결제 한도를 100만원에서 10만원으로 낮추고, 지난 5일부터 비정상 결제 시도를 차단한 바 있다.
KT 관계자는 "9월 8일 오후 7시 16분 KISA에 침해사고를 신고했다"며 "피해 고객에게 금전적 피해가 가지 않도록 사전 조치를 하고 있으며, 상품권 결제 한도를 하향 조정하는 등 피해 최소화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5일 새벽부터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해 현재까지 추가 발생은 확인되지 않았고, 지금까지의 신고 건들은 차단 이전에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개인정보 해킹 정황은 없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KT는 경찰 수사와 정부 조사에 적극 협조해 조속히 사건이 규명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찰은 복제폰, 중계기 해킹, 중간자 공격(MITM)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통신사와 결제대행업체, 상품권 판매업체를 상대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