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화하는 대출 건전성…기업·개인 모두 '경고등'

2025-10-24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은행권의 8월 원화대출 연체율이 0.6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계대출에서 모두 연체율이 상승했는데, 상대적으로 연체 위험이 높은 중소기업대출과 가계 신용대출에서 연체율이 두드러졌다. 특히 신용대출 연체율은 인터넷은행의 주 고객인 2030세대에서 유독 두드러져 주의의 목소리가 나온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월 말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61%로 전월 말 0.57% 대비 0.04%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8월 말 0.53% 대비 약 0.08%p 상승한 수치다.

구체적으로 기업대출 연체율은 0.67%에서 약 0.06%p 악화한 0.73%까지 상승했다. 지난해 8월 말 0.62%에 견주면 약 0.11%p 불어난 수치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이 0.01%p 상승한 0.15%에 그친 반면,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07%p 악화한 0.89%까지 치솟았다. 특히 중소기업대출에서 중소법인과 개인사업자대출 모두 연체율이 악화했는데, 중소법인 연체율은 약 0.07%p 상승한 0.97%,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약 0.06%p 상승한 0.78%로 집계됐다.

이 같은 지표는 은행권의 무수익여신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감원으로부터 확보한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업종별 대출금의 무수익여신 현황'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무수익여신 규모는 총 12조 451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9조 5952억원 대비 약 22.9%(2조 8565억원) 급증한 수치인데, 중소기업대출에서 유독 두드러졌다.

실제 중소기업대출의 무수익여신은 7조 4367억원으로 전체의 59.7%를 차지했다. 기업대출만 놓고 보면 중소기업 무수익여신 비중은 약 78.6%에 달한다.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 75.0%보다 약 3.6%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무수익 여신은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돼 원금·이자 회수가 모두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채권으로 이른바 '깡통대출'로 불린다.

추 의원은 "연체율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증가 속도가 급격히 빨리지는 특성이 있는 만큼, 자본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 대출일수록 연체율 관리가 더욱 까다롭기 때문에 구조적 특성을 감안해 보다 세심한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30세대 신용대출 연체율 '적신호'

기업대출과 더불어 가계대출도 경고등이 켜졌다. 8월 가계대출 연체율은 0.02%p 상승한 0.45%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보다 개인의 신용을 기반으로 하는 신용대출에서 연체율이 유독 두드러졌는데, 전달보다 약 0.06%p 상승한 0.92%까지 치솟았다. 특히 인터넷은행의 주요 고객층인 2030세대의 신용대출 연체율이 두드러진 점은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의 30대 이하 연체 규모는 2022년 말 368억원에서 올해 7월 말 577억원으로 약 57% 급증했다. 이 기간 연체율은 0.91%에서 약 0.60%p 악화한 1.51%까지 치솟았다. 구체적으로 20대는 1.43%에서 1.93%로, 30대는 0.78%에서 1.37%로 모두 0.50%p 이상 급등했다. 19세 이하 대출 연체율도 0.10%에서 0.42%로 4배 넘게 치솟았다.

경쟁사 토스뱅크의 청년층 신용대출 연체액도 2022년 말 298억원에서 올해 7월 말 425억원으로 약 43% 급증했다. 이 기간 연체율은 0.93%에서 1.39%로 0.46%p 상승했다. 구체적으로 20대는 1.48%에서 2.50%로, 30대는 0.69%에서 1.20%로 대거 악화했다.

윤 의원은 "인터넷은행 특성상 청년층의 비교적 쉬운 비대면 대출이 가능해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2030세대의 경제난이 심화하는 만큼 정부가 연체율 관리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금감원은 은행권에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고 부실채권 상·매각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내수부진 지속 및 대내외 불확실성 상존에 따른 연체·부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신규연체 발생액 대비 정리규모가 적고 취약부문에 대한 대출비중이 높은 은행을 중심으로 부실채권 상매각, 충당금 확충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