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한국공인회계사회(회장 최운열)가 지난 21일 ‘국내 지속가능성보고서의 SASB 기준 준수 현황 및 시사점’을 주제로 제18회 지속가능성인증포럼을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국내 지속가능성보고서의 SASB 기준 준수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최운열 회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우리 기업들이 국제 기준에 맞는 지속가능성 공시를 하기 위해서는 SASB 기준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준비가 필수적”이라며 “오늘 포럼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의견들이 향후 제도 수립과 실무 대응에 있어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전홍민 성신여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 기업은 당초 우려와는 달리 비교적 높은 SASB 기준 준수율을 보이고 있다”라면서 “다만 SASB 기준의 지속가능산업분류체계(SICS)가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와 다르며 일부 지표는 국내에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라고 말했다.
전홍민 교수는 “SASB 기준의 국내 도입과 관련하여 정부와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종합토론에서는 송민섭 서강대 교수를 좌장으로 인증기관, 학계, 연구기관, 기준제정기구, 회계업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의견을 전달했다.
김경배 표준협회 수석전문위원은 “SASB 기준의 정량 지표가 국내 규제요건과 상이한 면이 있어 국내 여건을 감안한 도입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추후 지속가능성 공시 및 인증이 의무화되기 전에 자발적 인증을 통해 SASB 기준에 따른 공시와 인증에 대한 대비를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박정은 대신경제연구소 센터장은 “SASB 기준 중 국내 실정에 맞지 않는 일부 지표에 대해서는 공시하지 않거나 ‘해당없음’으로 공시하는 경우가 있다”라며 “한국형 예시지표를 마련하고 중소·중견기업이 적용할 수 있는 단순화된 지침을 제공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선우희연 세종대 교수는 “SASB 기준의 산업분류체계는 국내 산업분류체계와 그 목적이 서로 다르고 SASB 기준의 지표에는 국내 기업에 적용하기 어려운 것도 있다”라며 “산업전문가 워킹그룹을 조직하여 SASB 기준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도입을 지원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산업별 워킹그룹을 구성하여 SASB 기준의 국내 적용가능성을 선제적으로 평가하고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라며 “기업이 자체적으로 자사의 산업을 선정하고 이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론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이승필 유한킴벌리 팀장은 “SASB 기준의 산업분류체계가 국내 실정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라며 “기존 업종별 협의체를 활용하여 산업별 니즈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SASB 기준의 국내 도입을 논의할 때 공급망 기업들도 고려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웅희 한국회계기준원 상임위원은 “올해 하반기부터 회계기준원에서 산업 전문 위원회를 운영하여 산업 기반 공시를 위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해당 위원회에서 국내 산업 기반 공시가 국제정합성과 유용성을 갖추면서도 국내 기업에 어려움이 없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허규만 안진회계법인 파트너는 "SASB 기준은 산업별 중요 공시 주제와 지표를 제시함으로써 기업과 인증인 모두에게 유용한 기준”이라며 “SASB 기준을 활용할 때 지표보다는 위험 및 기회 측면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지속가능성인증포럼은 감사인증전문가 기관인 한국공인회계사회가 지속가능성 정보의 투명성 제고와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지난 2022년부터 개최하고 있으며, 포럼을 통해 지속가능성 인증 등에 대한 회계업계의 전문지식을 일반인들과 널리 공유하고 있다.
이번 포럼 발표자료는 한국공인회계사회 ‘지속가능성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포럼 영상은 추후 회계연수원 사이트 및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될 예정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