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005930)가 ‘메모리 슈퍼사이클’ 초입에 진입했다는 시장 전망에도 사장 승진 1명에 그치는 소폭의 ‘안정 속 혁신’ 인사를 단행했다. 2019년 이후 가장 적은 승진 규모로 경영 안정과 미래 기술 선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1일 삼성전자는 사장 승진 1명, 위촉업무 변경 3명 등 총 4명 규모의 2026년 정기 사장단 인사를 발표했다. 삼성벤처투자 대표이사였던 윤장현 부사장이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 겸 삼성 리서치장으로 승진 보임됐다. 이번 삼성 사장단 인사는 2019년(부회장 1명·사장 1명) 이후 최소 규모다. 2018년(사장 7명), 2020년(〃 4명), 2021년(〃 3명), 2022년(〃 3명) 등과 비교하면 이번 인사는 승진 규모를 대폭 축소해 ‘안정’에 방점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인사로 삼성전자는 2인 대표이사 체제가 복원됐다.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 속 핵심 사업 경쟁력 강화와 경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서다. 노태문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 겸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 사장이 대표이사 사장 겸 DX부문장 MX사업부장으로 내정되면서 전영현 대표이사 겸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 부회장과 함께 2인 대표이사 체제가 복원됐다. MX와 메모리 등 주요 사업 부문장이 사업부장을 겸직하는 기존 체제를 유지해 사업 연속성과 시장 선도를 확보하는 조치로 읽힌다.
인공지능(AI)과 미래 기술 분야를 강화하기 위한 외부 인재 영입과 기술 전문가 발탁도 눈에 띈다. 삼성전자 삼성종합기술원(SAIT) 원장에는 하버드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한 박홍근 사장(2026년 1월1일 입사 예정)이 신규 위촉됐다. 박 사장은 25년 이상 기초과학과 공학 연구를 이끌어 온 글로벌 석학으로 양자컴퓨팅 뉴로모픽반도체 등 미래 디바이스 연구를 주도할 예정이다. DX부문 CTO 겸 삼성 리서치장으로 승진한 윤장현 사장은 MX사업부 소프트웨어(SW) 담당 등을 거쳤다. 삼성벤처투자 대표이사를 맡아 AI 로봇 바이오 반도체 등 유망기술 투자를 주도해왔던 SW 전문가다. 윤 사장은 앞으로 모바일 TV 가전 등 주력 사업과 AI 로봇 등 미래 기술 간의 시너지를 만들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우수 인재를 연중에 승진시키는 수시 인사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올 3월 AI 기술 고도화 등을 주도한 최원준 부사장을 MX사업부 최고운영책임자(COO) 사장으로 승진시켰으며 4월에는 마우로 포르치니를 DX부문 최고 디자인 책임자(CDO) 사장으로 영입했다.
같은 날 삼성벤처투자는 삼성디스플레이 대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 겸 IT사업팀장이었던 이종혁 부사장을 신임 대표이사 부사장으로 내정하는 인사를 발표했다. 이 신임 대표이사는 IT 전자부품 분야 기술 전문성과 풍부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삼성벤처투자를 글로벌 최고의 CVC로 지속 성장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속보] 삼성전자 노태문, 정식 DX부문장 및 대표이사 선임](https://newsimg.sedaily.com/2025/11/21/2H0JFYU7CX_1.jpg)
![[속보] 삼성전자 DX부문 CTO 사장에 윤장현 삼성벤처투자 부사장](https://newsimg.sedaily.com/2025/11/21/2H0JGZMWX6_1.jpg)


![[프로필] 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송규종 신임 사장](https://img.newspim.com/news/2025/11/21/25112110095043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