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은 인간에게 필요한 것… 이야기가 주는 힘

2025-03-29

조혜정 기자 hjcho@kyeonggi.com

기자페이지

지난해 제13회 박경리문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작가 실비 제르맹은 “문학은 인간의 복잡한 내면이나 본질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라고 했다. 문학작품은 만나본 적 없는 인물, 겪어보지 못한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통로다.

“문학은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

한강 작가는 지난해 12월 초 스웨덴 한림원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문학은 언제나 우리에게 여분의 것이 아니고 꼭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은 ‘아시아 최초’라는 영예만큼이나 국내 출판계의 흐름을 바꾸는 계기가 됐다. 책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은 독자가 되는 계기가 됐고 인문‧사회과학 등 객관적이고 학술정보 위주의 비문학 책이 서점 상단을 차지하던 것에서 소설, 시집 등 문학작품 판매량이 늘면서 문학 장르로 독자들의 관심을 끄는 역할을 했다.

‘오직 두 사람’, ‘검은꽃’ 등의 저자 김영하 작가는 과거 강연의 연사로 나서 소설을 읽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소설을 읽을 때 독자들은 현실이 아닌 다른 곳으로 가게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숨겨둔 주제를 찾아 생전 경험해 보지 못한 곳으로 가기 위해선 적극적으로 상상력을 발휘하면서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 작가는 소설을 읽는 목적이 단순히 주제를 찾기 위함은 아니라고 단언했다. 그저 ‘내가 이런 상황이 된다면?’ 하고 상상하고 여러 사람 입장에서 생생한 감정을 느끼는 간접 체험이 소설 읽기의 핵심이고 그렇게 주제는 자연스럽게 체화된다는 뜻이다.

인터넷 서점 알라딘이 지난해 말 2025년을 맞아 발표한 ‘21세기 최고의 책: 기억할 책, 함께할 책’의 결과를 봐도 문학과 비문학의 선정 비율은 팽팽하다.

문학작가, 번역가, 출판인, 연구자, 활동가, 언론인 등 책과 관련된 추천인 106명을 대상으로 2000년대에 출간된 809권 중 최고의 책 10권 선정을 요청한 결과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26권의 책 중 절반이 소설, 시 등 순수문학 13권이 리스트에 올랐다.

21세기 최고의 책, ‘소년이 온다’

가장 많은 지지를 얻은 책은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였다. 이 책을 선정한 19명 중 정여울 작가는 “결코 지워지지 않는 역사의 트라우마는 인류 공통의 끈질긴 화두”라며 “21세기에도 여전히 지워지지 않는 트라우마로 남아 있는 ‘1980년, 광주’라는 역사적 기억을 ‘지금 바로 여기’의 문제로 소환해 낸 걸작”이라고 추천 이유를 밝혔다.

한강 작가의 작품은 ‘소년이 온다’ 외에도 ‘채식주의자’(공동 9위‧5명 추천), ‘작별하지 않는다’(공동 14위‧4명 추천) 등이 순위에 올랐다. 이 외에도 국내 작가의 소설 작품으로는 ‘파친코’(이민진 저‧공동 6위),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김초엽 저‧공동 6위), ‘고래’(천명관 저‧공동 14위), ‘82년생 김지영’(조남주 저‧공동 14위) 등이 다수의 선택을 받았으며 김혜순 작가의 ‘날개 환상통’(5위), 폴란드의 시인 비스와바 쉼보르스카의 ‘끝과 시작’(공동 14위) 등 두 편의 시집도 순위에 올랐다.

해외 문학작품으로는 최고의 과학소설에 수여되는 네뷸러상, 휴고상, 로커스상, 스터전상, 캠벨상, 아시모프상, 세이운상, 라츠비츠상을 모두 석권하며 21개 언어로 번역 출간된 테트 창의 ‘당신 인생의 이야기’도 5명의 추천을 받으며 순위에 올랐으며 얀 마텔의 ‘파이 이야기’, 마르얀 사트라피의 그래픽 노블 작품인 ‘페르세폴리스’도 선정됐다.

한편 교보문고는 지난 1월부터 ‘21세기 클래식 50’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6월까지는 소설 분야에서 매주 한 편씩 총 25권을 소개하고 나머지 50편의 테마와 선정 도서는 7월에 일괄 공개할 예정이다.

1월부터 소개된 소설 분야 도서는 ‘나의 눈부신 친구’(엘레나 페란테 저), ‘종이 동물원’(켄 리우 저), ‘노멀 피플’(샐리 루니 저), ‘레디 플레이어 원’(어니스트 클라인 저),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마쓰이에 마사시 저) 등이다.

‘소년이 온다’/한강 지음/창비

‘소년이 온다’는 1980년 5월 18일부터 열흘간 광주에서 벌어진 이야기를 담고 있다. 광주민주화운동 당시의 상황과 그 이후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철저한 고증과 취재를 바탕으로 담아냈다. 5·18 당시 중3이던 소년 동호는 친구 정대의 죽음을 목격한 것을 계기로 도청 상무관에서 시신을 관리하는 일을 돕는다. 매일같이 쏟아지는 시신을 수습하면서 말 없는 주검들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초를 밝히고 시취를 풍기는 시신들 사이에서 친구 정대의 죽음을 떠올리며 괴로워한다. 무자비한 국가의 폭력이 한순간에 무너뜨린 광주시민들의 일상과 생명들에 대한 억울함이 동호와 정대의 목소리로 대변된다. 한강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해 “이 소설을 통과하지 않고는 어디로도 갈 수 없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날개 환상통’/김혜순 지음/문학과지성사

김혜순 시인은 ‘시하는 시인’으로 불리며 스스로 ‘시학’이 된 시인이다. 등단 40년이 되던 2019년 발표한 이 시집은 총 5부로 나뉘어 있으며 72편의 시가 실렸다. 표제작 ‘날개 환상통’에서 ‘나’와 ‘새’는 애도의 권력을 가진 자들로부터 추방당한 채 ‘환상통’을 겪는 존재로 ‘나-새’가 화장실에서 은밀하게 수행하는 애도를 통해 권력을 저격하는 장면을 그리고 있다. 한편 김혜순 작가의 ‘날개 환상통’은 지난해 3월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시 부문에서 한국 문학 최초로 수상했다.

‘당신 인생의 이야기’/ 테드 창 지음/엘리

SF 작가 테드 창의 단편 모음집으로 2004년 초판 발행됐으며 2016년 재발매됐다. 총 8편이 수록돼 있으며 수록작 중 ‘네 인생의 이야기’는 드뇌 빌뇌브가 감독한 ‘컨택트’로 영화화돼 베니스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 테드 창은 이 한 권의 책으로 네뷸러상, 휴고상, 로커스상, 스터전상, 캠벨상, 아시모프상, 세이운상, 라츠비츠상 등 최고의 과학소설에 수여되는 모든 상을 석권했다.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마쓰이에 마사시/비채

교보문고가 소개한 ‘21세기 최고의 클래식 50’에 선정된 이 책은 인간을 격려하고 삶을 위해 건축하는 노건축가와 그를 존경하고 따르는 주인공 ‘나’의 아름다운 여름날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을 통해 마쓰이에 마사시는 ‘제64회 요미우리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일본을 대표하는 서점 ‘기노쿠니야’의 서점원들이 선정하는 베스트셀러 차트에 올랐다.

‘나의 눈부신 친구’/엘레나 페란테/한길사

엘레나 페란테 작가의 ‘나폴리 4부작’의 제1권 ‘나의 눈부신 친구’는 이탈리아 나폴리의 폐허 속 자라난 두 여인의 우정을 담은 작품이다. 서로에게 가장 절친한 친구지만 외부 환경에 의해 좌절을 느끼는 릴라와 그런 릴라의 영특함에 열등감을 느끼는 레누의 우정과 삶에 대한 이야기다. 저자는 두 주인공을 통해 우정과 삶이 사회에 의해 변화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역사적 사실에 사소한 진실성을 부여하는 두 주인공과 그들의 이야기를 지켜보는 우리의 일상도 역사의 일부임을 깨닫게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