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산림청이 ‘2025년 산사태방지 대책’을 14일 발표했다.
올해 산사태방지 대책은 △2025년 영남지역 대형산불 피해지 집중관리 △위험정보 제공방식 개선을 통한 사전대피 강화 △장마철 등 위험시기 총력대응 △수요자 맞춤형 산사태 안전문화 확산 등에 중점을 둔다.

우선 초대형 산불이 발생한 영남 산불피해지역을 집중관리한다. 산불피해 상황을 반영해 산사태위험등급과 피해영향 범위를 긴급 조정하고 산사태정보시스템에 탑재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대피소, 임시주거시설의 안전성 여부, 대피경로 등 대피체계를 선제적으로 정비했다.
산불피해지역에 대한 산사태 예측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 과거 대형산불 사례 분석 등을 통해, 산사태 발생위험을 1~48시간 전에 예측해주는 예측모델도 긴급 조정해 위험정보가 누락되지 않도록 했다.
산불피해지역 중 민가로부터 100m 이내에 있는 지역 등 2차 피해 우려가 있는 6466곳에 대해 긴급진단을 실시해 복구필요 대상지 615곳을 선정, 우선순위에 따라 복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 중 2차 피해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은 279곳에 대해서는 6월 15일 이전에 최우선으로 응급복구를 완료할 계획이다.
산사태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정보의 제공 대상을 급경사지(행정안전부), 도로비탈면(국토교통부) 등 위험사면을 관리하고 있는 관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총괄부서까지 확대해 재난대응 연계 체계를 강화했다.
또한 제공방식을 기존 문자메시지에서 알림톡으로 전환, 데이터 처리능력을 향상시켜 더욱 신속하게 위험정보가 제공돼 선제적인 주민대피가 될 수 있도록 했다.
위험시기에는 재난관리자원을 총동원해 총력대응체계를 가동하도록 했다. 산불재난특수진화대를 여름철 주민대피·응급조치 등 산사태 대응에 투입해 현장대응을 강화하고, 신속한 주민대피를 위해 지방자치단체-경찰-소방-대피조력자(이·통장 등) 등이 협업한다.
위험지역 응급복구, 임시주거시설 제공 등을 위해 산림조합·한국산림복지진흥원 등 유관기관의 장비(굴착기 등)와 숙소(산림치유원·숲체원 등) 등을 총동원한다. 지방자치단체-지역산림조합 등 간 재난관리자원 응원 업무협약도 적극 유도할 예정이다.
아울러 산사태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수요자 맞춤형 교육·홍보를 강화한다. 교육 대상을 공무원에서 민간조력자·마을주민·어린이·청소년 등 일반국민까지 확대한다. 이·통장 등 민간조력자 교육을 위해 이·통장협의회와 주만자치회를 활용하고,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팝업퍼즐·워크북 등 산사태안전교육 교재를 6월까지 개발한다. 학교 등 찾아가는 산사태 예방교육도 3월부터 9월까지 실시한다.
이 외에도 사방댐 대상지 공모를 통해 주민이 직접 산사태예방을 위한 사방댐 대상지를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8월 29일까지 신청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산림청 누리집(www.forest.go.kr)에서 확인 가능하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불피해지역의 추가 피해가 없도록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태풍·집중호우 등 위험시기에 긴급재난 알림을 받으면 주저 없이 대피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