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폐업 사업자 100만명 넘겼다···‘사업 부진’이 절반, 내수 업종 위기 심화

2025-07-06

집계 이래 처음으로 100만명 넘겨

폐업률도 0.02%P 오른 9.04% 기록

소매업·음식점업·부동산업 비중 높아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코로나 이후 누적된 사업 부진과 고금리 환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소매·음식점업 폐업 사업자가 전체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6일 국세청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개인·법인 사업자는 100만8282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2만1795명 늘어 1995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폐업자는 2019년 92만명 대에서 2022년 86만명 대로 3년 연속 줄었다가 2023년에 전년대비 11만9195명 급증한 98만6487명을 기록했다. 지난해에 2년 연속 늘며 100만명을 돌파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누적된 사업 부진과 고금리로 인한 연체율 악화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폐업률도 9.04%로 1년 전보다 0.02%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운영 사업자 100명 중 9명이 같은해 폐업했다는 의미다.

폐업 사유로 사업 부진(50만6198명)이 전체의 50.2%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사업 부진으로 인한 폐업자가 50만명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비중이 50%를 웃돈 것도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이후 14년 만이다. 이어 기타 사유(44만9240명), 양도·양수(4만123명), 법인 전환(4471명) 등이었다.

내수 업종에서 폐업이 크게 늘었다. 전체 52개 업종 중 소매업 폐업자는 29만9642명으로 전체의 29.7%를 차지했다. 소매업 폐업자는 1년 전보다 2만454명 늘어 증가 폭도 가장 컸다.

이어 음식점업(15.2%), 부동산업(11.1%), 도매 및 상품중개업(7.1%) 순이었다. 소매업과 음식점업을 합한 비중은 전체의 약 45%에 달한다. 건설경기 불황으로 건설업 폐업자도 4만9584명을 기록해 전체의 4.9%를 차지했다.

지난해 폐업률은 업종별로 소매업(16.78%), 음식업(15.82%), 인적용역(14.11%) 순이었다. 소매업 폐업률은 2013년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았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