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부모 10명 중 4명이 초·중·고생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을 관리에 큰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초·중·고 학부모 92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자녀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사용을 지도하는 일이 스트레스가 된다'고 답한 비율은 40.5%였다. '스트레스가 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22.8%로 불편함을 호소한 이들이 두 배 가까이 많았다.
'지도 과정이 너무 벅차다'고 느낀 학부모도 34.6%에 달했다. 반면 '그렇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는 30.3%에 그쳤다. 또한 39.9%는 "스마트폰 사용에 부모가 어디까지 개입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털어놨다.
실제로 학부모의 10명 중 8명꼴(79.5%)이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을 지도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이를 실제로 실천하고 있는 경우는 61.6%에 그쳤다.
한편, 이른바 '디지털 페어런팅(Digital Parenting)'을 실천하는 비율은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높았다. 농어촌이나 중소도시보다 대도시 학부모들이 디지털 기기 사용을 더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응답자의 88.2%는 "부모 대상 디지털 페어런팅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이 같은 사회경제적 격차는 단순히 정보 접근의 불평등을 넘어 자녀의 디지털 환경 전반의 질적 차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지역·계층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부모 교육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리서치 전문업체 ㈜에스티아이에 의뢰해 지난달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재단은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 디지털 역량 강화 지원 정책’ 마련을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