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소득이동 통계 첫 발표
하위 20% 중 69.1%, 소득 유지
청년층에서 가장 빠른 소득 상승
여성·청년층 활발…노년층 정체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하위 20% 소득층 10명 중 7명은 5년 내 상위 분위로 이동했으며, 청년층과 여성의 경제적 이동성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역동경제 구현을 위한 핵심과제인 사회이동성 개선과 취약계층 지원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개발한 2017~2022년 소득이동통계를 18일 발표했다.
소득계층 간 이동성을 정밀 분석한 결과, 소득 상향 이동 비율이 하향 이동보다 높았고, 특히 청년층의 경제 활동이 가장 역동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2022년 소득분위 이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년 대비 소득분위가 상승 또는 하락한 사람은 전체의 34.9%로 나타났다. 이 중 상향 이동(17.6%)이 하향 이동(17.4%)보다 소폭 높았다.
여성(36.0%)이 남성(34.0%)보다 소득이동성이 높았으며, 청년층(15~39세, 41.0%)이 노년층(65세 이상, 25.7%)보다 소득 이동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소득분위별로는 2분위(하위 20~40%)에서 소득이동성이 가장 높았고, 5분위(상위 20%)에서는 이동성이 가장 낮았다. 1분위(하위 20%)에 속한 사람 중 69.1%는 여전히 해당 분위에 머물렀으나, 30.9%는 상위 분위로 이동했다.
2022년 기준 소득금액이 전년보다 상승한 비율은 64.4%, 하락한 비율은 32.9%로 나타났다. 소득이 10% 미만 상승한 사람이 전체의 22.0%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는 청년층(15~39세, 68.1%)의 소득 상승 비율이 가장 높았고, 노년층(65세 이상, 52.6%)이 가장 낮았다.
2017년 소득 1분위에 속했던 사람 중 68.7%는 2022년까지 상위 분위로 이동했으며, 31.3%는 여전히 1분위에 머물러 있었다.
남성(26.1%)이 여성(35.0%)보다 1분위에서 더 빨리 벗어났으며, 연령별로는 청년층(15.2%)의 1분위 지속 비율이 가장 낮아, 경제적 이동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형일 통계청장은 "소득이동통계를 통해 사회이동성 현황과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범정부 차원의 정책과제를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며 "추후 추가 행정자료 연계 및 정책 효과 분석 등을 통해 통계 기반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