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공격 급증 속, 18%가 내용연수 초과

세관 당국을 상대로 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는 가운데, 관세청이 보유한 사이버보안 장비 97대 중 17대가 내용연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관세청이 현재 운영 중인 29종 97대의 보안장비 중 9종 17대(약 18%)가 이미 내용연수를 초과한 노후 장비로 밝혀졌다. 내용연수는 물품의 경제적 사용 기간을 의미하며, 최소한의 수리비로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을 기준으로 조달청장이 고시한다.
특히 핵심 방어 장비인 무선위협차단시스템은 2014년 도입 이후 11년째 사용되고 있으며, 통합로그분석시스템과 유해사이트차단시스템 등도 2016년 도입 이후 교체 없이 9년째 사용되고 있다. 반면, 최근 2년간 사이버 공격 시도가 6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에는 513건이던 공격 시도가 2024년에는 2,913건으로 약 5.7배 증가했으며, 특히 올해 8월까지 이미 1,119건을 기록했다.
공격 유형도 점차 지능화되고 다양화되고 있다. 웹 접근 시도, 스캐닝, 비인가자 접속, DDoS 공격, 악성 프로그램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격이 이루어지고 있다. 내용연수를 초과한 장비는 최신 위협 정보를 반영하기 어려워 공격 탐지 및 차단 성능이 급격히 떨어질 위험이 있다.
정일영 의원은 “사이버 보안 장비는 단순한 행정 자산이 아니라 국가 사이버 안보의 최전선에 있는 디지털 방패”라며, “관세청은 국가 물류·통관의 핵심 기관으로, 단 한 번의 보안 사고가 국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버보안 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과 예산 확충을 통해 국민의 정보와 국가 시스템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국매일신문] 맹창수기자
mchs@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