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은 12일 “한반도의 남북관계가 서로에게 피해 끼치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에게 도움 되는 관계로 전환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분단이 되어 군사적 대결을 하느라고 엄청난 비용을 지불하는 것도 사실 서로에게 힘든 일인데, 굳이 서로에게 고통을 가하고 피해를 입히고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겠냐는 생각이 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정부의 대북 확성기 철거 조치 이후 북한이 대남 확성기 일부를 철거한 사실을 언급하며 “6월달에 비방 방송을 우리가 먼저 중단하니 그쪽도 중단했다”며 “이렇게 상호적 조치 통해 남북 간 대화와 소통이 조금씩 열려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남북이) 가급적이면 대화와 소통을 빨리 시작해서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그런 관계로, 평화와 안정이 뒷받침되는 한반도를 통해서 각자의 경제적 환경도 개선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산재로 인한 사망사고 근절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살기 위해서 간 일터가 죽음의 장이 돼서는 절대로 안 된다”며 “피할 수 있는데, 비용을 줄이기 위해 누군가의 목숨을 빼앗는다는 건 일종의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사회적 타살”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노동을 하는 데서 비용을 아끼기 위해 안전조치를 하지 않는 건 ‘바보짓’이라는 생각이 들게 하면 된다. 그게 더 손해가 되게 하면 된다”며 “일상적으로 산업 현장을 점검해서 안전조치 없이 작업하면 그 자체로 엄정하게 제재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