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 철학에서 이성과 현실의 갈림길, 그 갈등은 해소될 수 있는가?

2024-09-22

이성과 현실의 문제를 정확하게 포착하려고 했던 철학자는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1770-1831)이라고 해도 실로 과언이 아니다. 특히 헤겔의 『법철학』은 이 문제와 연관되어 각종 논쟁거리의 중심으로 떠올랐지만, 많은 사람이 헤겔의 진의가 과연 무엇인지에 관한 논쟁보다는 오히려 헤겔 철학에 대한 오해와 비난에만 몰두했다. 헤겔이 『법철학』(1821) 서문에서 “이성적인 것은 현실적이며, 그리고 [반대로] 현실적인 것은 이성적이다.”(Was vernünftig ist, das ist wirklich; und [umgekehrt] was wirklich ist, das ist vernümftig)라고 말했다. 그런데 이 유명한 말은 헤겔 사후인 그 당시에 현실적인 것이 이성적이라는 말의 해석을 놓고 헤겔 우파와 헤겔 좌파로 갈라졌다. 헤겔 우파는 보수적으로 헤겔의 말을 현실 그 자체를 긍정하면서, 즉 현존의 질서를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해석했던 반면, 헤겔 좌파는 진보적으로 헤겔의 말을 현실이 이성적이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현실 개혁의 방식으로 해석했다. 그들은 오직 각각의 진영 논리에 매몰된 채 논쟁만을 하다 보니, 과연 그들이 헤겔 철학에 관한 합리적 핵심에 도달했는지도 의문이 들기도 했으며, 마치 무엇인가 빠진 채 서로 겉도는 듯한 인상마저 주기도 했다. 

 사실 헤겔은 이러한 논란을 어느 정도 의식했던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헤겔의 이 말을 보면, 이성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이 한갓 서로 병렬식으로 나열되어서 의미와 달리 서로 어느 정도의 분리가 되긴 하지만, 서로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뜻이 된다. 헤겔이 최종적으로 말하고 싶었던 바는 아마도 이성이 현실 세계에서 실현되어야 하고, 그렇게 될 때 비로소 이성에 의해 실현된 현실 세계야말로 이성적이라 하겠다. 그런데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당위적 요청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오히려 우리가 이성적인 것을 통해서 참된 현실적인 것을 실현하기 위한 필연성을 포착하지 않으면 안 된다. 1817/18년 법철학에 관한 구두 강의에서는 이미 헤겔이 “이성적인 것은 생겨나지 않으면 안 된다.”(Was vernünftig ist, muß geschehen)라고 바꾸어 말하기도 했던 것으로 보면, 이성적인 것은 필연으로 생겨나야만 하는 한에서, 거짓이 아니라 참다운 현실적인 것으로 되어야 한다. 1831년 필사본 강의록에 의하면 헤겔이 구두로 “현실적인 것은 이성적이다. 그러나 현존하는 모든 것이 현실적이지는 않다.”(Was wirklich ist, ist vernünftig. Aber nicht alles ist wirklich was existirt)라고 말했던 까닭도 진정으로 참다운 현실적인 것이 그 자체로 현존하는 것이 아니라, 이성적인 것으로 될 수 있는 한에서, 우리가 참다운 현실적인 것을 이성적인 것이라고 부를 수 있기 때문이다. 헤겔의 『법철학』이 단지 국가철학의 정당화로만 간주하게 되었던 까닭은 이성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의 일치에 국가개념을 적용하면, 마치 헤겔이 그 당시에 현존하는 프로이센 국가를 옹호하는 듯이 해석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헤겔의 앞에 구두 진술을 보면 헤겔이 그렇게만 생각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 헤겔의 『법철학』이 처음 알려지기 시작했을 때, 다수의 사람이 『법철학』을 이해하는 방식이란 스스로 헤겔의 제자라고 자칭했던 카를 마르크스(1818-1883)의 『헤겔 법철학비판』에 경도된 채 그저 한번 우회하는 정도에서 머물러 있었다. 그 당시에 일부 사람들은 마르크스의 헤겔 법철학에 대한 비판에 다소 합리적 의심을 지니고 있었지만, 학문적 토론과 논의의 장으로 본격적으로 나서지 못했다. 또 마르크스의 헤겔 법철학에 대한 비판이 어떤 근거를 지니는지를 세밀하게 검토하기보다는 무조건 아무런 타당한 근거 없이 마르크스가 헤겔을 잘못 이해했다는 방식으로만 비난했을 뿐이었다. 이러한 태도는 헤겔 철학을 교조화했을 뿐이며, 헤겔 법철학이 실재 철학임에도 불구하고, 헤겔 법철학을 오히려 이론적으로만 가둬 놓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왜 헤겔 법철학이 마르크스에게 있어 비판의 표적이 될 수밖에 없었으며, 마르크스가 헤겔 법철학의 ‘서문’과 ‘국법론’에 대해서만 유독 격렬한 비판을 가했는지에 대한 치열한 고민과 논쟁 없이 그저 헤겔이 옳고 마르크스가 틀렸다는 방식에 갇혀서는 아무런 학문적 성과가 성취될 수 없었다. 이와 반대로 일부 사람들은 마르크스의 헤겔 비판을 교조적으로 수용한 결과 마르크스에 대한 어떤 반론도 인정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헤겔 법철학을 전체주의의 전형으로 간주하기도 했다. 여기에서는 반대로 마르크스가 옳고 헤겔이 틀렸다는 관점이 지배했으며, 각자의 비판보다는 마르크스의 비판이 한갓 옹호되는 것에만 머물러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진정한 철학적 논의가 어려운데, 분명한 것은 어느 쪽이 옳은지 혹은 그른지보다는 학문적 장에서 치열한 논쟁에서 과연 각자가 무엇을 얻을지가 중요할 것이다.       

 사실 어느 쪽이든 단지 헤겔의 일부 진술만으로 난해하기 그지없는 『법철학』에 대한 전체적 이해는 분명히 불충분하다. 더욱이 헤겔은 종종 별다른 설명 없이 진술하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법철학』 텍스트 그 자체만을 문자적으로 쫓아서 이해하려고 하면 난관에 봉착하기 쉽고, 때론 오해도 생기기 마련이다. 『법철학』에서 헤겔은 이성과 현실의 관계를 포착했지만, 이 양자의 갈등을 해소할 만한 뚜렷한 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우리는 양자 사이에 벌어진 거대한 간격과 필연적으로 마주한다. 이성을 압도할 만한 현실 앞에 진리에 대한 용기가 무기력하고, 현실적 삶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좌절과 절망만을 안겨 준다면, 이것이야말로 철학에서 이론과 실천이라는 또 다른 갈림길이 우리에게 주어질 수밖에 없다. 마르크스는 철학에서 실천이라는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관념론의 굴레를 벗어던지면서, 현실 그 자체에서 이념을 찾았고, 실천을 위한 무기의 비판을 들었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의도와 달리 오히려 아무런 비판도 없는 맹목주의와 교조주의가 지배했을 뿐인데, 사실 이것은 철학적 실천을 그 자체로 이론적으로 보면서 이론과 실천의 통일성을 전제하면서 구체적 실천의 의미를 부각하기는 했지만, 문제는 이때 철학의 실현을 위한 철학의 폐기도 불사하는 듯이 보였다는 데 있다. 철학이 학문의 길을 벗어나면서 철학 그 자체가 이론적이면서 동시에 철학적 실천, 즉 현실 비판의 단계로 나아가면, 여기에서는 철학과 사상, 역사와 현실이 시대적 전개에서 전진하기 위해 우리는 근본 철학으로부터 고개를 돌리고 스스로 철학적이지 않고, 실천적이어야 한다. 그런데 거기에 관여된 우리 각자는 이론과 실천에서 철학이 설 땅을 스스로 상실한다. 그 까닭은 이제 철학이 굳이 아니더라도, 얼마든지 다른 학문을 통해 각자에게 주어져 있는 역할은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철학의 비판이란 철학적 실천으로서의 현실 비판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철학에서 어떤 대상이든지 비판이 멈춘다면, 그것은 철학이 아니어도 실로 무방하다. 문제는 헤겔이든 마르크스든 우리가 각각의 사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문자적으로 부분적으로 누가 이렇게 말했으니 아무런 비판도 하지 않은 태도는 실로 무책임하다. 누군가 이렇게 말했다는 사실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중요한 것은 우리가 헤겔이든 마르크스든 그들이 제기했던 현실과 이성, 그리고 이론과 실천의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면서, 그들의 사상에 한계가 무엇이고, 어떻게 현재의 시점에서 그와 같은 문제들에 대해 각자가 스스로 답들을 찾을 것인지가 아닐까!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아직도 그와 같은 문제들이 우리에게 분명히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해법들이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은 것은 우리의 현실이다. 더욱이 아쉬운 것은 그와 같은 문제들에 관한 방법론적 차원의 치열한 고민이 별로 없다는 점 외에도 그와 같은 문제들 자체를 회피하는 양상도 보인다는 점이다. 그 대신에 자기 만족적인 태도로 헤겔이 이렇다, 마르크스가 이렇다고 독백이나 하는 것은 실로 철학적 태도가 아니다. 헤겔 철학이 그와 같은 문제들에 대해 한계가 있다면, 마르크스도 자신의 해법에 문제가 있다면, 근거와 논증의 장으로 우리 각자는 용기를 갖고 나와야 한다. 이것이 진정한 해법이다! jgfichte@naver.com

*필자/권기환

철학박사. 동국대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지겐대 제 1학부(역사-철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Dr. phil.)를 취득했다. 경희대, 경기대, 명지대, 상명대, 강남대, 홍익대 등에서 강의를 했다. 현재는 가천대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독일 관념론, 독일 초기 낭만주의, 프랑스 현상학, 해석학, 동서 비교 철학 등이다. 한국 헤겔학회, 한국칸트학회, 한국해석학회, 한국 현상학회(전 정보이사), 서양 근대철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

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an the conflict between reason and reality in Hegel’s philosophy be resolved?

- Kwon Ki-hwan, columnis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philosopher who tried to accurately capture the problem of reason and reality was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 In particular, Hegel’s Philosophy of Right emerged as the center of various controversies related to this issue, but many people focused on misunderstanding and criticizing Hegel’s philosophy rather than debating what Hegel’s true intentions were. In the preface to Philosophy of Right (1821), Hegel said, “What is rational is real, and [conversely] what is real is rational.” (Was vernünftig ist, das ist wirklich; und [umgekehrt] was wirklich ist, das ist vernümftig). However, this famous saying was divided into the Hegelian right and the Hegelian left at the time of Hegel’s death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ement that the realistic is rational. The Hegelian right conservatively interpreted Hegel’s statement as affirming reality itself, that is, as justifying the existing order, while the Hegelian left progressively interpreted Hegel’s statement as a method of reforming reality in the sense that reality must be rational. Since they were only immersed in the logic of their respective camps and argued, it was questionable whether they had actually reached the rational core of Hegel’s philosophy, and it even gave the impression that they were just going around each other with something missing.

In fact, it seems that Hegel was somewhat aware of this controversy. Looking at Hegel’s statement, the rational and the realistic are simply listed in parallel, and although they are somewhat separated from each other contrary to their meaning, they are interrelated. What Hegel ultimately wanted to say was probably that reason must be realized in the real world, and only then can the real world realized by reason be rational. However, in order for this to happen, we must not stop at a normative demand, but rather grasp the necessity for us to realize the truly actual through the rational. In the oral lectures on the philosophy of right in 1817/18, Hegel had already said, “The rational must come into being” (Was vernünftig ist, muß geschehen), so insofar as the rational must come into being by necessity, it must become not false but truly actual. According to the manuscript lecture notes of 1831, the reason Hegel said orally, “The actual is rational. But not everything that exists is actual” (Was wirklich ist, ist vernünftig. Aber nicht alles ist wirklich was existirt) is because we can call the truly actual rational insofar as it does not exist in itself but can become rational. The reason why Hegel's Philosophy of Law was regarded as merely a justification of the philosophy of the state is because, when the concept of the state is applied to the unity of the rational and the realistic, it is interpreted as if Hegel was defending the existing Prussian state at that time. However, if you look at Hegel's oral statement, you can see that Hegel did not think that way.

When Hegel's Philosophy of Law first became known in Korea, the way many people understood it was limited to a detour, focusing on Karl Marx's (1818-1883)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Law, who called himself a disciple of Hegel. At that time, some people had some reasonable doubts about Marx's criticism of Hegel's philosophy of law, but they did not fully engage in academic discussion and debate. In addition, rather than examining in detail the basis of Marx’s criticism of Hegel’s philosophy of law, they simply criticized Marx for misunderstanding Hegel without any valid basis. This attitude only dogmatized Hegel’s philosophy, and even though Hegel’s philosophy of law is a real philosophy, it ended up confining Hegel’s philosophy of law to theory.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and debate on why Hegel’s philosophy of law had to be a target of criticism for Marx, and why Marx only criticized the ‘Prologue’ and ‘On State Law’ of Hegel’s philosophy of law so fiercely, they could not achieve any academic achievements by simply being stuck in the method of Hegel being right and Marx being wrong. On the other hand, some people dogmatically accepted Marx’s criticism of Hegel, and as a result, did not acknowledge any counterarguments to Marx, and even regarded Hegel’s philosophy of law as a typical example of totalitarianism. Here, the view that Marx was right and Hegel was wrong dominated, and Marx's criticism was merely defended rather than criticized by each. In such a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have a true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what is clear is that rather than which side is right or wrong, what is important is what each side gains from the fierce debate in the academic field.

In fact, either way, it is clearly insufficient to fully understand the extremely difficult Philosophy of Law based on only some of Hegel's statements. Furthermore, since Hegel often makes statements without much explanation, if we try to understand the text of the Philosophy of Law literally, we are likely to encounter difficulties and sometimes misunderstandings. In the Philosophy of Law, Hegel grasp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 and reality, but he did not present a clear method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At this point, we inevitably encounter the huge gap between the two. If the courage for truth is feeble in the face of reality that overwhelms reason, and if attempts to improve real life only bring frustration and despair, then this is precisely what philosophy must give us, another crossroad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By raising the issue of practice in philosophy, Marx threw off the shackles of idealism, found ideology in reality itself, and raised criticism of weapons for practice. However, contrary to Marx’s intention, blindness and dogmatism without any criticism prevailed. In fact, this viewed philosophical practice as theoretical in itself, presupposed the unity of theory and practice, and highlighted the meaning of concrete practice, but the problem was that at this time, it seemed as if it would not hesitate to abandon philosophy for the sake of realizing philosophy. When philosophy deviates from the path of scholarship and becomes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practice itself, that is, moves to the stage of criticism of reality, then in order for philosophy and thought, history and reality to adva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we must turn away from fundamental philosophy and become practical, not philosophical. However, each of us involved in it loses the ground where philosophy can stand in theory and practice. The reason is that now, even if it is not philosophy, the role given to each can be performed through other disciplines.

In fact, criticism of philosophy is not limited to criticism of reality as philosophical practice. If criticism of any object in philosophy stops, it does not have to be philosophy. The problem is that, whether it is Hegel or Marx, we do not criticize it at all because someone literally said something, rather than understanding each thought in its entirety. The fact that someone said something is not important. Rather, what is important is how we understand the problems of reality, reason, theory, and practice that Hegel or Marx raised, what the limitations of their thoughts are, and how each of us will find answers to such problems on our own at the present time!

Although a long time has passed, such problems still clearly remain for us, but our reality is that no clear solutions stand out. What is even more regrettable is that, in addition to the lack of methodologically intense contemplation on such issues, there is also an aspect of avoiding such issues themselves. Instead, it is not a truly philosophical attitude to monologue about Hegel and Marx in a self-satisfied manner. If Hegel’s philosophy has limitations on such issues, and if Marx has problems with his own solutions, each of us must have the courage to come forward to the field of evidence and argument. This is the real solution!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