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파울루에 간 김환기는 왜 돌아오지 않았나…사후 51년 만에 고틀리브와 전시

2025-10-29

이번 대상을 받은 아돌프 고틀리브는 참 좋겠다. 미국에서 회화는 이 사람만 출전시켰다. 작은 게 100호 정도고 전부가 대작인데 호수도 따질 수가 없었다, 모두 벽만큼씩 해서…양뿐 아니라 내용도 좋았다. 내 감각과 동감되는게 있었다. 퍽 애정이 가는 작가였다. (김환기, 「상파울루전의 인상」,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환기미술관)

1963년 10월 김환기(1913~74)는 김포공항에서 가족들의 배웅을 받으며 상파울루 비엔날레로 떠났다. 1951년 시작한 상파울루 비엔날레는 현대미술에 초점을 맞춘 최초의 비엔날레로 빠르게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었다. 한국은 여기 서양화에 김환기ㆍ유영국ㆍ김영주, 동양화에 김기창ㆍ서세옥, 조각에 한용진 등의 작품을 내놓는다.

‘섬의 달밤’ 등 세 점을 보낸 김환기는 개막 일주일 뒤에야 상파울루에 도착했다. 회화 부문 명예상을 받았다. 한국 미술가의 첫 국제전 수상이다. 참가단 대표로 2주 동안 수집한 자료와 보고서를 문교부에 보낸 뒤 경유지 뉴욕에 도착한 김환기는 서울로 돌아오지 않았다. 50세, 한국 미술협회 이사장이자 홍익대 교수였지만 미국에서 바닥부터 다시 시작했다.

당시 상파울루 비엔날레에서 만장일치로 최고상을 받은 이는 미국 대표로 단독 참가한 아돌프 고틀리브(1903~74). 고틀리브는 잭슨 폴록, 마크 로스코와 함께 뉴욕 화파(New York School)를 결성, 미국 추상 표현주의를 이끌었다. 1968년 3월 뉴욕 구겐하임미술관과 휘트니 미술관이 동시에 고틀리브 회고전을 열었다. 두 미술관이 한 작가의 회고전을 동시에 연 것은 그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서울 이태원로 페이스갤러리에서는 이 두 사람의 전시 '추상의 언어, 감성의 우주: 아돌프 고틀리브와 김환기'가 31일부터 열린다. 생전에 가까이 교류했지만 두 화가가 함께 전시하는 건 처음, 사후 51년 만이다. 아돌프·에스더 고틀리브 재단과 환기재단의 협력으로 기획된 이번 전시에는 두 화가의 1960~70년대 회화 16점이 나왔다. 서로 다른 문화적ㆍ철학적 토대 위에서 두 화가가 닮은 듯 다른 시각 언어를 어떻게 구축했는지 조명한다.

고틀리브는 큰 화폭에 해와 달이 연상되는 둥근 형태를 번진 듯 맑게 그리고, 아래 서예를 닮은 붓자국을 남겼다. 김환기가 "내 감각과 동감되는게 있었다"고 할 만했다. 고틀리브는 1940년대 무의식을 시각화한 전면 격자 구조와 자기만의 기호를 결합한 ‘픽토그래프’ 연작에 이어 1950년대 떠도는 원형과 폭발적 붓질을 병치한 대표 연작 ‘버스트’를 내놓았다. 상파울루 비엔날레 전시도 이 시리즈가 중심이다. 서울 전시에도 ‘버스트’ 연작 세 점이 걸렸다.

대작들로만 46점을 건 상파울루 비엔날레의 고틀리브 전시에 대한 김환기의 감흥은 "아돌프 고틀리브는 참 좋겠다"라는 첫 문장에서부터 묻어난다. 단 한 명의 작가만 선정해 추상 표현주의를 유감 없이 보여준 자신감 넘치는 전시구성, 당시 한국에서는 보기 드문 대작 46점의 양과 질에 김환기는 압도됐다.

당시 김환기는 1956~59년에 이어 다시 파리를 가볼 생각도 했다. 그러나 비엔날레에서 본 프랑스 미술에 대해 “별 진전이 없었다. 기운이 없는 것 같았다”며 뉴욕에 머물 결심을 굳혔다. 뉴욕의 값싼 호텔에서 지내며 파리 시절 알고 지내던 미국 화가의 작업실에서 더부살이로 그림을 그린다. 1964년 9월부터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고서야 맨해튼에 작업실을 얻을 수 있었다. 아내 김향안도 이 무렵 미국에 합류할 수 있어 생활도 안정됐다. 상파울루에서 만난 고틀리브와는 뉴욕에서도 교류했다. 그의 소개로 1964년 마크 로스코의 작업실을 방문한 인상기도 남겼다.

나는 로스코가 고틀리브보다 더 좋은 인상이었어…대폭에 굵다란 한일자 색면밖에 없어. 그것이 퍽 부드럽고 고요한 실내악 같은 감흥이야. 그리고 빛깔의 연극이고. (1964년 1월 9일, 뉴욕의 김환기가 서울의 김향안에게 보낸 편지)

뉴욕에서 김환기의 화폭은 점점 커진다. 달항아리와 매화를 즐겨 그리던 화풍도 크게 변한다. 형상은 점점 사라져 십자구도가 됐다가 1965년부터 초기 점화의 형태가 나오고, 1970년부터 본격적으로 전면 점화를 그리며 현지의 호평을 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1974년 3월 고틀리브에 이어 김환기도 7월 세상을 떠난다. 디스크 수술 후 입원해 있던 병원에서 낙상, 뇌출혈이었다.

페이스갤러리 서울 이영주 수석 부사장은 “2019년 한국국제아트페어(KIAF)에서 고틀리브와 김환기의 그림을 함께 걸었던 데서 시작, 두 재단의 협력으로 2인전을 성사시킬 수 있었다”고 말했다. 내년 1월 10일까지, 무료.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