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감사에서 배달 노동자 안전 관리 부실로 뭇매를 맞은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이 자율주행 로봇을 내세웠다. 업계 일각에서는 노동자 안전 논란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로봇 배달이 새로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우아한형제들은 실외 자율주행 배달로봇 '딜리(Dilly)'의 주행 지역을 확대하고 정밀 지도 데이터를 고도화하는 등 실외 배송 서비스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배달의민족은 지난 28일 서울 강남구에서 열린 '우아한테크콘퍼런스(우아콘) 2025'에서 로봇 주행 기술과 향후 전략을 공개했다.
딜리는 카메라 6개와 라이다(LiDAR) 센서 2개를 탑재해 보행자와 장애물을 인식하며 자율주행을 수행한다. 현재 서울 강남 일대에서 B마트 배송을 시범 운영 중이며, 향후 서비스 지역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자체 맵 서비스를 구축하고 도심형 인도 주행에 적합한 환경 인식 기술도 개발 중이다.
이번 발표는 국정감사 이후 처음으로 공개된 공식 행보다. 김범석 우아한형제들 대표는 우아콘에서 "배민 2.0은 주문부터 배송까지 전 과정을 책임지는 통합형 기술"이라며 "다시 사랑받는 배민이 되겠다"고 말했다. 배민이 국감에서 배달 플랫폼 갑질과 라이더 과로·안전 방치 문제로 여론의 비판을 받은 직후인 만큼, 이번 행보는 기술을 통한 이미지 쇄신 시도로 해석된다.
그러나 실외 자율주행 상용화를 둘러싼 현실적 제약은 여전하다. 인도 주행 구간에 필요한 정밀지도 구축과 충돌 시 책임 주체를 규정할 법적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데다 보행자 안전 확보와 돌발상황 대응력 등 핵심 검증 절차도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강남 일대처럼 유동 인구가 많은 환경에서는 로봇이 인도와 도로를 오가며 주행하는 과정에서 보행자와의 접촉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배민 관계자는 "인도에서 배달로봇을 운영할 수 있도록 허가가 난 상황"이라며 "현재 시외배달 로봇은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일대에서 운영 중이고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엔지니어들이 로봇 배달에 직접 동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확산 당시에도 배달 효율과 비대면 서비스를 위해 로봇 배송이 시도된 바 있다. 당시 우아한형제들과 현대차그룹, 뉴빌리티 등 다수의 기업이 실내·실외 자율주행 로봇을 테스트했지만, 인프라 미비와 유지비 부담, 주행 안전성 한계로 상용화에 실패했다.
박철완 서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의 자율주행과 서비스 로봇의 자율주행은 완전히 다른 문제로, 서비스 로봇의 자율주행 운행은 많은 변수에 노출되기 때문에 기술력에서 더 높은 수준을 요구한다"며 "관제 센터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을 진행한다고 해도 해당 기술은 현실에 접목시키는 일은 공상과학에서나 가능할 정도로 현실화되기 어려운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행법상 운행하기 위한 인증을 받았다고 해도 기술적 완성도가 걸음마 수준인 상황에서는 상용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GAM]로보택시 '원톱' 웨이모 ① 블랙 캡의 도시 런던에 출사표](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APEC CEO 서밋] 포터 쿠팡 CGAO "AI 기술로 커머스 미래 재정의...美 리더십 강화 기여"](https://img.newspim.com/news/2025/10/29/251029120431000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