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나들이 명소에 직접 유아차 끌고 가봤더니···“꽃놀이는 남 얘기였다”

2025-04-15

“어어, 애 다친다!”

벚꽃이 활짝 핀 15일 오전 한 나들이객이 유아차와 함께 서울 서대문구 안산 벚꽃길을 오르는 기자를 보고 소리쳤다. 울퉁불퉁한 바닥 탓에 유아차가 흔들리자 아이가 다칠까 불안해보였기 때문이었다. “유아차에 아이 없어요”라고 말하자 이 시민은 가슴을 쓸어내렸다.

봄을 맞아 도심 벚꽃 명소들이 상춘객들로 북적이지만, 유아차를 동반한 가족은 쉽게 찾아볼 수 없다. 벚꽃 명소의 도로 상황 등이 유아차로 이동하기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이다. 유아차를 이용하는 부모들은 “꽃놀이를 하려면 마음을 크게 먹어야 한다”며 “꽃놀이는 남의 이야기”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저출생 문제 극복을 위해서는 일상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기자가 서대문구 안산공원관리사무소에서 유아차를 빌려 안산 벚꽃길과 인근 연희동 상권을 둘러봤다. 유아차에는 12개월 영아의 표준 체중과 유사한 9㎏짜리 원판과 아기 모양의 인형을 실었다.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지난 3월부터 여기서 일했지만 유아차 대여는 (기자가) 처음”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유아차를 이용하는 나들이객도 없었고 유아차 역시 빌리는 사람도 없었다는 뜻이었다.

유아차를 끌고 안산 벚꽃길을 걷기 시작했다. 목표는 약 1㎞의 산책길을 완주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출발부터 불안했다. 길이 흙과 벽돌로 이뤄져 곳곳이 난관이었다. 인형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유아차를 밀었다. 저절로 손에 힘이 들어가고 시선은 땅을 향했다. 머리 위 벚꽃은 아름다웠겠지만, 벚꽃을 볼 틈은 없었다.

안산공원관리사무소에서 50m가량을 걸어가니 첫 번째 벚꽃 구경 지점이 나타났다. ‘샛길 산책로’라는 곳이었다. 산책로에는 벚꽃 외에도 다른 봄꽃이 만개해 있었다. 나들이객들은 자유롭게 움직이며 꽃을 구경했다. 산책로로 내려가는 진입로는 두 곳이 모두 계단이었다. 유아차에서 아이 인형만 빼내고 구경을 할까 했지만, 유아차를 잃어버릴까 싶었다. 아쉬운 마음을 뒤로하고 발걸음을 돌렸다. 걷고 뛰는 어린이들의 부모가 부러웠다.

안산 벚꽃길은 벚나무 3000여 그루가 있는 1㎞ 남짓한 길이지만, 이날 기자가 이용할 수 있는 거리는 300m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시작부터 전부 계단으로 이뤄져 있어 유아차로 이동할 수 없었다. 벚꽃길을 산책하던 이모씨(46)는 기자에게 “유아차를 가지고 여기까지 오기도 힘들었겠다”고 말했다.

벚꽃길을 되돌아 나오니, 점심시간이 가까워졌다. 벚꽃길은 제대로 보지 못했지만 다른 나들이객처럼 점심을 먹기 위해 서대문구 연희동 식당으로 향했다.

하지만 식당가에 가는 길도 수월치 않았다. 내리막길 경사는 가팔랐다. 인도가 끊기는 구간은 연석 때문에 유아차를 계속 힘을 줘서 들어야 했다. 음식점이 몰린 한 골목길 진입로는 양쪽 인도가 다 계단으로 돼 있어 유아차를 끌고 차도로 들어설 수밖에 없었다. 차가 옆을 지나갈 때마다 조마조마했다.

연희동 가게들도 경사로가 없어 유아차를 끌고 들어가기 어려웠다. 계단 세 칸의 장벽 때문에 물을 사러 편의점에 들어가는 것도 포기했다. 상가 2층에 있는 식당은 엘리베이터가 없어 엄두도 내지 못했다. 인근 가게 사장은 “가끔 유아차를 보긴 했지만 대부분 엄마가 아이를 안고 아빠가 유아차를 들어서 오른다”고 말했다. 혼자 나온 기자에게는 벅찬 일이었다. 엘리베이터가 있어도 시설이 유아차에 적합하지 않아 이용하지 못하는 일도 있었다. 엘리베이터 내·외부의 높낮이 차로 이용이 제한되거나 엘리베이터 내부 공간이 좁아 유아차가 들어가지 못하기도 했다.

생후 12개월 된 딸을 키우는 김지은씨(30)는 “(경사로가 없어) 유아차가 들어가지 못하는 식당도 많다”며 “상가 입구의 한쪽 만이라도 경사로를 설치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세 아이의 아빠인 고모씨(36)도 “상가 엘리베이터가 작아 유아차와 함께 타는 게 눈치가 보이고, 좁은 문과 입구의 턱도 불편하다”며 “경사로가 없는 건물들은 들어갈 엄두가 나질 않는다”고 말했다.

박승희 성균관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유아차도 사회적 약자를 위한 것인데, 우리 사회에서는 출산해서 아이를 키우는 게 사회적 약자가 되는 것”이라며 “육아수당·육아휴직 같은 제도의 중요성은 말할 것도 없지만, 국가가 유아차처럼 아이를 낳고 기르는 일상 속 불편을 해소하려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