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사각지대를 없애고자 보건복지부가 2022년 도입한 ‘공공심야약국’ 확대가 농촌에선 지지부진한 것으로 파악됐다. 공공심야약국은 밤 늦은 시간이나 휴일에 의료 사각지대 주민들이 약사에게 복약 지도·상담을 받고 불편함 없이 의약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한 의료시설이다. 보통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1시까지 문을 여는데 정부가 전담 운영한다.
실제로 본지가 경북도를 대상으로 취재한 결과 2022년부터 공공심야약국을 설치, 도내 전체로 확대코자 노력했지만 최근 들어서야 8곳에서 37곳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계획을 보면 여전히 도시 중심이고, 단 한곳의 공공심야약국이 없는 시·군도 22곳 중 15곳에 달했다. 전국 현황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현재 전국엔 254곳의 공공심야약국이 운영되는데, 대부분 수도권과 대도시에 집중된 것으로 알려졌다. 농촌에 공공심야약국이 설치되지 않은 이유는 방문객이 너무 적다보니 효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데다 전문인력 확보도 쉽지 않은 게 주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여건이 비슷한 일본에선 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시스템을 이미 구축한 실정이다. 후생노동성 통계를 보면 전국의 모든 시정촌 1718곳에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을 도입한 결과 2024년 4월 기준으로 본소·지소 합해 모두 7362개의 지역포괄케어센터를 설치, 언제 어디서나 의료·의약 상담과 처방을 받을 수 있게 했다. 게다가 24시간 운영·대응 약국 지정, 편의점 약품 판매 규제 철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의료 사각지대 주민들이 필요한 의약품을 구입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했다.
지방소멸 위기가 나날이 더해가는 농촌에 공공심야약국마저 운영되지 않는다면 귀농·귀촌 등을 통한 인구 유입은 더욱 어려워 초고령화된 농촌의 미래는 불 보듯 뻔하다. 정부는 선진 사례를 참고해 공공심야약국 확대에 나섬으로써 주민들의 일상생활 유지에 필수인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 적극 힘써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