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전문의, 하루가 급한데…공공의대 세워도 최소 10년”

2025-04-28

“국립의대를 만들고 지역·필수 의료 인력을 직접 양성하면 뇌졸중 분야 지원자가 늘어날까요?”

25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열린 대한뇌졸중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만난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과 교수)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공약으로 내세운 공공의대 설립에 관해 의견을 묻자 이렇게 되물었다.

“지역 간 의료 격차를 줄이고 공공의료를 강화하겠다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것이다. 이 교수는 “의대 정원을 늘리거나 공공의대를 세우거나 젊은 의사들이 필수의료 분야로 유입될 수 있다면 반대할 이유가 없다"며 "비급여 영역으로 빠지지 않게 만들 안전장치 없이는 뇌졸중 등 지역 필수의료 분야 인력난 해소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신경과는 의정갈등이 불거지기 전인 2023년 상반기 전공의(레지던트) 1년차 전기모집에서 113.3%의 지원율을 기록했다. 이 교수 역시 치열한 경쟁을 뚫고 뇌졸중 진료의 길로 들어섰다. 지금은 분위기가 180도 바뀌었다. 한해 10만 명 넘게 발생하는 급성 뇌졸중은 증상 발현 후 얼마나 빨리 재개통 치료를 시행했는 지에 따라 환자의 여생이 달라진다. 뇌졸중 의심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하는 즉시 수술·시술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뇌졸중 전문의들에겐 밤낮없이 응급 콜이 쏟아지게 마련이다. 신경과 안에서도 보상은 적고 업무 강도가 높은 뇌졸중 전문의는 기피 분야가 됐다.

정부도 뇌졸중 대응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순천향대서울병원을 포함해 10곳을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로 지정했다. 이 교수는 "중앙-권역-지역으로 이어지는 심뇌혈관질환 대응체계가 마련된 것은 반갑다"면서도 "정작 이들 센터에서 일할 젊은 의사가 없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토로했다. 부산, 대구 등의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에서는 정년을 바라보는 전문의들이 하루 건너 하루 '퐁당퐁당' 당직을 서고 있다는 게 그의 전언이다. 이 교수는 "공공의대가 설립되더라도 현장에서 뇌졸중 같은 필수 중증 응급질환을 담당할 전문인력이 배출되려면 최소 10년 이상 걸린다"며 "지금 현재 현장을 지키는 전문의들이 5~10년 뒤 정년 퇴직하면 누가 밤새워 센터를 지킬지 답답하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이어 "뇌졸중으로 인한 후유장애를 최소화하려면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된 보건의료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