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발생시 입산 후 직접 진화할 수 있는 방안" 검토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정부가 대형 산불을 진화하기 위해 소방청에 특별조직을 만드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올해 영남권에서 발생한 산불을 비롯해 매년 '대형화' 추세를 보이는 화재에 전문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대형 산불을 방지할 수 있는 근본적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대해 "산불을 진화하는 특별조직을 만들어 투입하는 방안을 준비중"이라고 말했다.

행안위 소속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은 올해 3월 영남권을 비롯해, 경북권, 2023년 강원권 대형 산불 등 원인 및 대응 방안에 대해 질의했다.
윤 장관은 "(지금까지) 소방청은 산불 발생 시 산불 진화보다 인가 피해를 줄이기 위한 작업에 집중해 왔다"며 "하지만 앞으로는 입산해 직접 산불을 진화할 수 있도록 특별조직을 만들어 투입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정기획위원회에서 논의 중인 대형 산불에 대한 대응 체제 일원화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결론내리지 못했다"고 답했다.
최근 국회 입법조사처가 낸 보고서에 따르면 산불 예방은 산림청, 대피는 지방자치단체, 대응은 행안부와 산림청이 주관으로 재난관리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겼다.
윤 장관은 "산불을 어떻게 진화하고 효율적으로 역할을 나누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형 산불을 방지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이 이제는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 의원은 올해 산청 산불에 대한 분석 자료를 제시하며 산림관리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침엽수는 휘발성 성분이 많은 대신 수분 함량이 매우 낮아서 불이 붙으면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을 내놨다.
이외에도 정 의원은 인위적으로 조림이나 숲 가꾸기에 개입하지 않은 일본 사례를 제시하며 근본적인 산림정책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