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목·자율형사립고가 정시 전형에서 유리하다는 통념이 최근 데이터로 뒤집혔다.
23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대 정시모집 최초 합격자 중 특목·자사고 출신 비중은 2016년 48.2%에서 올해 27.5%로 대폭 감소했다. 반면 일반고 출신 합격자는 같은 기간 50.8%에서 63.6%로 크게 늘었다.
특목·자사고의 경쟁력 하락은 최근 입시 경쟁률에서도 확인된다. 종로학원이 전국 69개 특목·자사고의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올해 평균 경쟁률은 1.39대1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서울 강남권 명문 자사고 역시 상황을 피해가지 못했다는 것이다. 휘문고와 세화고는 각각 0.67대1, 0.91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지원자 미달 사태를 맞았다. 세화고의 경우 지난해 수능에서 만점자 2명을 배출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수능으로 승부를 보려면 특목·자사고를 가야 유리하다는 생각이 잘못된 편견이라는 것을 보여준다"며 "강남 자사고 선호도 하락은 이러한 인식 변화를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올해부터 고교 내신이 9등급제에서 5등급제로 전환됨에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비중이 여전히 높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이처럼 특목·자사고 진학이 정시 전형의 성공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