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대표 주거형태인 아파트는 정보기술(IT) 발전과 함께 초고속 아파트, 스마트 아파트, 인공지능(AI) 아파트로 진화를 거듭해오고 있다. 앞으로 가정내 다양한 AI기기, 주차장 자동차까지 상호 연동돼 더 편리한 생활 인프라로 발전할 것이다.
정부나 산업계가 광고하는 주거생활 혁신은 이렇게 성큼성큼 다가오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많이 미흡하다. 정부 홈네트워크(홈넷) 호환성 인증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관련 제조업계는 외국 표준이라도 들여와 적용하자고 요구하는 촌극이 벌어지고 있다.
당연히 홈넷을 통해 화재나 안전사고 통보나 신고, 전파가 이뤄져야하고, 외부망과도 원활하게 연결돼야 하지만 지난 2022년 KS표준 제정 움직임만 반짝 하더니 3년째 감감 무소식이다.
이렇게 되다보니 홈넷 구성 3대망인 세대·단지·외부망 중 어느 지점의 설비가 고장나고, 단락이 이뤄지더라도 홈넷 전체가 먹통이되거나 못쓰게 된다. 또 시스템 업그레이드 때는 따로따로 시스템을 새로 도입해야 한다. 필요한 것만 바꿔도 될 것을 전체를 바꾸거나, 사양에 맞추려 고가 제품을 구매해야하는 부담이 발생한다.
한 여당 의원실에서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까지 분양된 아파트 중 홈넷 상호호환성 미충족으로 핵심장비인 월패드를 교체해야하는 잠재 대상이 무려 481만호, 1조4400억원 규모에 달한다고 한다.
이는 고스란히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될 것이다. 월패드 고장이나 교체에 따른 입주민 불만이 고조되면서 제조사와 소송까지 가는 아파트단지만 전국적으로 100곳이 넘는다고 한다. 더구나 연동이 잘 안되다보니 최근 빈발하고 있는 아파트내 대형 화재 등 긴급시에도 홈넷은 제역할을 못하기 일쑤다.
AI아파트까지 발전하기까지 통신이든, 건설이든 기술 발전은 눈부셨다. 하지만, 그 안에 들어가는 네트워크와 망 연동성 확보는 아직 과거에 머룰러있다. 정부와 업계의 표준 확보, 그에 따른 제품 규격과 인증 등 제대로된 설치·운용 전 절차를 만들거나 밟지 않았기 때문에 겪어야하는 사달이다.
이제부터라도 관련부처(산업부, 국토교통부, 과기정통부)가 한시바삐 인증체계부터 확립해야 한다. 관련업계도 인증 기준 수립과 업계 요구 등을 갖고 적극 참여해야 한다. 그 표준에 따른 홈넷 제품 출시까지 최대한 시간을 줄이는 것이 일반 국민, 소비자의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는 길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