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도 ‘김풍 매직’을 피해갈 수 없었다. 이재명 대통령 내외 역시 그간의 출연자들과 마찬가지로 김풍의 요리에 헛웃음과 감탄을 쏟아냈다.
6일 방송된 JTBC ‘냉장고를 부탁해 since 2014’(이하 ‘냉부해’)는 ‘추석 특집, K-푸드를 부탁해’라는 주제로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출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음식은 한번 입에 고정이 되면 쉽게 안 바뀐다. 지속성이 있다. 한국 문화를 수출하는 데, 산업으로 대한민국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나라가 자원이 별로 많지 않다. 문화가 자산이고 K-팝, 드라마도 중요하지만 진짜 문화의 핵심은 음식이다. 이 프로그램이 인기가 많다보니 K-푸드 홍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며 출연 계기를 밝혔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전 세계에 알리고 싶은 K-푸드, 자연스럽게 한국의 식탁으로 초대할 수 있는 음식”을 주제로 “전 세계에 알리고 싶은 K-식재료 시래기 요리”를 주문했다.

첫 대결 ‘전 세계에 알리고 싶은 K-푸드’에서 최현석과 손종원 셰프가 맞붙어 손종원이 최종 승리를 한 가운데, 두 번째 대결은 ‘전 세계에 알리고 싶은 K-식재료- 시래기’로 정지선과 김풍이 대결을 펼쳤다.
‘흑백요리사’에서 시래기 빠스를 선보이며 ‘시래기의 여왕’이란 별명이 붙은 정지선은 “프로그램이 이슈가 되서 대만, 홍콩에서 시래기 빠스를 하면서 재료를 알렸다. 새로운 시래기 요리를 알려보고 싶다. ”고 출사표를 던졌다.
이에 김풍은 “시래기를 상당히 좋아한다. ‘냉부해’ 근간이자 저도 모르게 산업의 역군이 돼버린 사람으로서 도전해보겠다” 면서 “예전에 운영하던 카페에서 불고기, 시래기가 들어간 시래기 샌드위치를 만들었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정지선은 ‘시래기 떡상’이라는 이름으로, 시래기를 활용해 만든 두가지의 고급 떡을 준비했다. 김풍은 튀긴 누룽지에 시래기·고사리 토핑을 올린 ‘이재명 피자’를 만들었다.

김성주는 “요리 이름에 대통령 성함을 쓴다는 것이 리스크 있다”고 지적했고, 김풍은 “한자가 다르다. 저는 ‘재물 재’를 쓴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이재명은 “한 번 해봐라. 의외로 대작이 나올 수 있다”고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흔쾌히 허락했다.
그러나 대통령 내외는 요리 도중 김풍이 시래기, 버터, 멸치 액젓, 들기름 등을 함께 사용하자, 생소한 요리 레시피에 불신을 드러냈다. 그러나 김풍의 피자를 한 입 맛본 뒤 눈이 커지며 “오? 보기와는 다른데?”라며 크게 놀랐다. 또 연근 페퍼로니를 음미하며 “페퍼로니 대신 연근 튀김을 올린 게 독창적이다.이걸 독자적인 상품으로 만들어야겠다”며 감탄하기도 했다.
김 여사 역시 “이게 왜 맛있냐고요”라며 웃음을 지었다. 김풍은 “계획한 게 아닌 것 같다”는 이 대통령의 말에 “하나 틀림없이 계획한 그대로 나왔다시래기와 고사리는 조합이 좋다. 통조림화해서 해외로 수출도 가능할 것 같다. 산업 역군으로서 내일 컨테이너선에 타겠다”며 특유의 입담으로 웃음을 자아냈다. 그러면서 “‘이재명 피자’가 잘 되면 로열티를 나눠드리겠다”고 말했고, 이 대통령은 솔깃해하는 모습으로 웃음을 안겼다.

이에 정지선과 김풍의 대결은 대통령 내외의 의견일치로 김풍이 승리를 차지, ‘별’을 수여받았다.
김 여사는 “버터, 시래기, 들기름의 조합이 상상이 안 되는데 맛있다”고, 이 대통령은 “주제가 시래기인데 주제를 확실히 살렸다. 장난스럽게 하셨는데 맛은 장난이 아니었다”고 극찬했다.
앞서 해당 방송은 명절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정쟁의 대상이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야당 관계자들은 지난달 국정자원 화재 후 행안부 소속 공무원 A씨가 숨진 사건을 언급하며, 대통령 부부의 예능 출연을 맹비난했다. 대통령실은 “국가공무원 사망으로 전 부처가 추모의 시간을 가지고 있다”며 방송일을 연기해 달라고 제작진에 요청했다. 방송에 앞서 큰 잡음이 일긴 했지만, 시청자들은 추석 연휴 가족들이 함께 보기 좋은 방송이었다며 만족스러운 후기를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