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공모 닥나무 활용한 요리 개발로 관광상품화
마을 재배 닥나무 첫 구입, 한지를 통한 마을만들기 시동
"전북과 완주군이 중심 되는 한지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뒷받침할 터"

남해경 완주 대승한지마을 관장(67)의 한옥 사랑은 남다른가. 한옥 인재양성의 거점 역할을 하는 전북대 고창캠퍼스의 오늘이 그의 땀과 정성으로 빚어졌고, 세계 각국에 한옥을 수출하고 한옥에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그가 중심에 있었다.
2년 전 정년퇴직한 후에도 전북대 한옥건축사업단장과 문화재돌봄사업단장으로 활동하며 한옥 사랑을 이어가는 남 교수가 완주 대승한지마을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고 있다. 전국 유일의 한지마을이라는 이름으로 문화시설이 있는 `대승한지마을`을 한지문화의 메카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로 지난해 완주군으로부터 위탁을 받았다.
실제 남 교수가 관장을 맡은 후 8개월 만에 `대승한지마을`은 크게 바뀌었다. 그가 가장 먼저 손을 댄 게 낙후된 시설이다. 행정동과 한옥체험관, 한지전시장, 한옥스테이를 갖춘 대승한지마을이 15년이 지나도록 시설개선이 이뤄지지 않아 체험객들의 불편이 컸다. 남 관장은 본인의 전문성을 살려 완주군 지원을 받아 우선 승지관(행정 및 체험동)과 한옥체험관을 고쳤고, 놀이시설과 편의시설을 개선했다. 규모가 큰 한옥스테이의 경우 대대적인 리모델링이 요구되고 았어 중앙 정부 공모사업을 추진 중이다.
남 관장은 시설개선과 함께 한지를 활용한 관광상품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한지 의상, 한지 공예품, 한지 건축자재 상품을 전시 판매하는 판매장을 개장했다. 또 충청∙호남권 유일의 국가유산청 공모에 선정된 `닥나라, 완주 맛나라`프로젝트는 닥나무와 한지, 한식문화를 결합한 창의적인 콘텐츠로 주목을 받았다. 한지 원료인 닥을 이용한 요리(닥백숙, 닥칼국수, 닥수육 등)를 개발, 전국 탐방객들에게 선보이며 닥나무 활용의 시금석을 놓았다.
"한지마을에 걸맞게 닥나무와 한지로 먹고사는 마을을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마을에서 생산한 닥나무로 한지를 만들고, 관광상품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한지 마을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대승한지마을에서 재배한 닥(4톤)을 올 처음 매입하기도 했던 남 관장은 닥나무 재배부터 한지 생산, 한지공예품 생산, 닥나무 음식 등으로 한지 마을을 만들 계획이란다.
그는 완주 한지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전통 한지 생산과 함께 한지 명인 명장 발굴, 한지 교육프로그램 운영, 한지 패션쇼와 한지산업전 개최 등도 연차적으로 추진하고 싶은 사업으로 꼽았다.
또 내년도 한지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준비하는 정부 계획에 맞춰 전북과 완주가 그 중심에 설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데도 관심을 둔다. 이미 전북도 공모사업으로 전북 한지의 문화유산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연구 용역을 맡은 그는 한지학술대회와 세계한지박람회 개최 등으로 유네스코 한지 등재에 전북과 완주가 소외되지 않도록 힐 계획이다.
#완주 대승한지마을] #남해경 #전북대 한옥건축산업단장 #닥나라 #한지 #관광상품 #유네스코 #국가 공모
김원용 kimwy@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