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유럽서 ‘가자 군사작전’ 이스라엘에 실력행사 들어가

2025-05-28

아일랜드 정부가 팔레스타인 지역에 위치한 이스라엘 정착촌에서 생산된 물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법안 초안을 마련했다고 27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기드온의 전차’로 이름붙인 군사작전을 밀어붙이고 있는데 대한 유럽 차원의 제재 조치가 가시화하고 있다.

다만 미할 마틴 아일랜드 총리는 이번 제재 조치에 대해 지난해 팔레스타인 정부를 승인한데 따른 “상징적 조치”라고 말했다. 영국 가디언은 “이스라엘 정착촌과 아일랜드의 교역은 오렌지, 올리브 등 2020∼2024년 사이 65만5000만유로(약 10억 6000만원)에 불과하다”고 했다. 로이터 역시 “법안이 의회를 통과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그럼에도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군사작전에 대해 유럽의 비판 여론이 확산하는 상황에서 나온 조치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국은 지난 20일 이스라엘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중단했다. 또 이스라엘의 베잘렐 스모트리히 재무장관과 이타마르 벤그비르 국가안보장관, 이스라엘 카츠 국방장관 등을 제재하는 방안도 내부 검토 중이라고 더타임스가 보도했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26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로파포럼 행사에서 “솔직히 말해 무슨 목표를 갖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군사작전을) 하는지 더 이상 이해할 수 없다”며 “최근 며칠 사이 점점 늘어나는 민간인 피해는 하마스 테러리즘과의 싸움으로 설명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메르츠 총리는 “독일은 이스라엘에 대한 공개 조언을 다른 어느 나라보다 자제해야 한다”면서도 “선을 넘고 국제인도법을 확실히 어기고 있다면 독일도, 독일 총리도 무언가 말해야 한다”고 했다.

메르츠 총리의 발언은 이례적이다. 독일은 나치 시절 유대인 학살 등 과거사 때문에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을 가급적 삼갔다. 유럽 내에서도 대표적인 친이스라엘 국가로 분류된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역시 이르면 6월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수 있다고 지난달 발표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도 27일 요르단의 압둘라 2세 국왕과 통화에서 “민간인에 대한 무력 사용은 인도주의적 관점이나 국제법상으로 정당화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EU 수장인 집행위원장이 이스라엘을 비판하는 것 역시 극히 드문 일이다.

반면 팔레스타인 지역인 요르단강 서안에 이스라엘인 정착촌 22곳을 추가로 건설하는 방안을 이스라엘 내각이 비밀리에 승인했다는 보도가 이스라엘 언론을 통해 나오는 등 이스라엘 정부는 가자지구를 포함해 대팔레스타인 강경 자세에서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고있다.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기습 공격으로 시작된 가자지구 전쟁 발발 600일을 하루 앞둔 27일 가자지구 보건부는 전쟁으로 팔레스타인 주민 총 5만4056명이 숨지고 12만3129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