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 편집일 30th 10월, 2025, 10:41 오전

김종현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윤리심판원장이 논란 하루 만에 사퇴서를 제출했다.(관련 기사 : 현직 윤리심판원장이 ‘대놓고’ 정치?… “심판이 선수됐다” 비판 불가피) 윤리심판원장의 중도 하차는 전례가 없는 일로, 도당은 당분간 해당 직위를 공석으로 둘 방침이다.
30일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에 따르면 김종현 윤리심판원장은 지난 28일 오후 늦게 도당 사무처에 사퇴서를 공식 제출했다. 앞서 김 원장은 같은 당 소속의 오영훈 제주도지사를 공개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주도하는 등, 윤리심판원장으로서의 정치적 중립 의무에 어긋난 행보로 논란을 빚은 바 있다.
김 원장은 2024년 10월 10일 제1회 윤리심판원 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선출돼 임기 2년의 직책을 수행 중이었다. 당시 그는 “정치인과 정당인의 도덕성은 정치 신뢰의 출발점”이라며 “객관적이고 공정한 심사를 통해 도민의 눈높이에 맞는 윤리 기준을 확립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당헌은 “시·도당 윤리심판위원은 시·도당위원장이 상무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임명하고, 심판원장은 윤리심판위원 중 외부 인사로 호선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후임 인선에도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도당 유재구 사무처장은 “부심판위원장이 있는 상황이었다면 대행 체제가 가능하겠지만, 현재는 부위원장이 없어 불가능하다”며 “중앙당 보고 후 관련 규정을 검토할 예정으로, 신속히 처리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당분간은 윤리심판원장이 공석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시사한 대목으로 풀이된다. 그는 또 “윤리심판원장의 중도 사퇴 사례는 이번이 처음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상징하는 자리를 지켜야 할 윤리심판원장이 ‘자기 정치’ 논란 속에 물러나면서, 도당 내 윤리 기능의 신뢰에도 적지 않은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상임위원장 독단·불성실한 질의… “역대 최악 정쟁성 국감” [2025 국정감사]](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20251028516552.jpg)
![[단독] 눈엣가시는 '품앗이'도 패싱?…최민희, 野 일부 빼고 후원금 전달](https://newsimg.sedaily.com/2025/10/30/2GZDOY51NG_2.jpg)
![[단독] 재감사 기각되자 정관 변경 꼼수…'점입가경' 강남문화원](https://newsimg.sedaily.com/2025/10/30/2GZDNBHH98_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