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물결이 빠른 속도로 전 세계를 뒤덮으면서 그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는 또 하나의 새로운 문명 충격으로 다가오고 있다. 과거 유산 속 산업혁명과 정보화 과정에서도 드러났듯이,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고 패러다임이 변화할 때 최종 승자는 기술을 잘 만드는 나라가 아닌 '잘 쓰는' 나라였다. 따라서 인공지능 전환(AX) 시대 정부를 혁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 정부가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조직으로 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내에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용하면서 배우는(learning by doing)' 업무 프로세스와 공무원이 AI와 협업하면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의사결정 체계가 정립되어야 한다. 또 정부 조직이 개방적 플랫폼을 활용한 양방향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민간 혹은 공공부문 내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조직으로 바뀌어야 한다.
AI 강국이 되려면 정부의 혁신은 물론, 국가 차원 필수 정책과제의 성공적인 완수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AI 활용 장애로 손꼽히는 데이터 부족과 높은 컴퓨팅 비용 문제가 대표 사례다. 이를 위해 정부는 공공뿐만 아니라 기업과 국민이 생산하는 수많은 데이터가 막힘 없이 축적·공유·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친환경 전력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컴퓨팅 인프라 기반을 마련하는 데 공을 들여야 한다.
국민에게는 영화 '아이언맨'의 자비스나 '그녀(Her)'의 사만다처럼 대화가 가능한 AI 비서를 정부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개개인 맞춤 데이터 분석과 인프라 구축, 제도적 정비도 동시에 진행돼야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AI가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방법을 이끌어내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 수 있는 수요와 시장 창출에 정부 노력이 요구된다.
정부는 AI 도입에 따라 야기되는 사회적 갈등과 혁신의 방향성을 민주적으로 논의할 수 있도록 공론화를 주도해야 한다. 30년 전 정보화의 시작이 굳건한 사회적 공론을 바탕으로 세워진 만큼, 인공지능 대전환 시대에도 공론화 과정은 필수적일 것이다.
이제 정부는 'AI Work Science'를 본격 추진해 자신을 혁신해 나가면서도 국민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모든 것을 잘 보살펴주는 정부가 될 때다.
김현민 기자 min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