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네이버파이낸셜이 추진해온 '주식매매 간편연결서비스'를 투자 중개 업무가 아닌 '위탁 업무'로 최종 판단했다. 그럴 경우 네이버를 통해 주식매매가 가능해 진다. 금융당국이 네이버파이낸셜 서비스를 증권사 거래 시스템과 연결을 돕는 플랫폼 지원 업무로 해석한 것이다.
이번 결정으로 네이버파이낸셜은 금융당국 별도 인가 없이 간편연결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게 됐다. 네이버파이낸셜의 금융 플랫폼 확장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사용자들도 편리하게 주식 매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4일 금감원에 따르면, 네이버파이낸셜의 '주식매매 간편연결서비스'를 투자 중개 행위가 아닌 위탁 업무로 인정했다. 이는 사용자가 '네이버페이 증권' 페이지에서 시세를 확인하다가 '간편연결' 버튼을 누르면 증권사 웹트레이딩시스템(WTS)으로 연동되는 방식이다.
네이버파이낸셜 관계자는 “네이버 증권 페이지에서 증권사 시스템으로 연결이 가능해진 것”이라며 “고객은 네이버에서 증권사 앱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간소화해 편리하게 증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그동안 증권사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면 투자중개업 인가를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하지만 이번 판단으로 네이버파이낸셜의 역할이 투자중개업이 아닌 단순한 기술 지원이라는 점이 명확히 정리된 것이다.
네이버파이낸셜은 금융당국의 직접적인 규제를 받지 않고도 주식 관련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규제 리스크 일부가 해소된 것이다.
네이버파이낸셜은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과 제휴를 맺고 있으며, 이번 금감원 판단으로 다른 증권사의 추가 참여 가능성도 커졌다. 증권사 입장에서도 네이버의 방대한 트래픽으로 신규 고객을 유치할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두호 기자 walnut_park@etnews.com, 박유민 기자 newm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