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내는 청년들(上)] "친구 모임도 줄이는데"…'생활고' 허덕이는 청년층

2024-11-09

청년 세대의 생활고가 시간이 지날수록 심화하고 있다. 지난 2022년 정부 조사에 따르면, 전체 청년 세대의 연평균 소득은 2천162만원, 부채는 1천172만원에 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50~300만원 수준의 소액 대출도 제때에 갚지 못하는 청년이 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요금도 제대로 납부하지 못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청년세대의 저소득·생활고 현상을 짚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본다. [편집자주]

[글싣는 순서]

(上) "친구 모임도 줄이는데"…'생활고' 허덕이는 청년층

(中) "소액 대출 갚기도 버겁다"…20대 신용유의자·연체율 급증에 '비상'

(下) "신용도 하락 우려 점증"…2030세대, 통신비 연체 1·2위

【 청년일보 】 "손에 잡히는 일은 모두 하면서 생활을 유지하려고 하지만,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도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20대 A씨는 이렇게 말했다. A씨는 이어 자신이 겪고 있는 생활고와 유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이 더욱 많다고 소개했다.

그는 "특별한 사치품이나 비용이 많이 드는 취미 생활을 하지 않지만, 저축 등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여유 자금이 녹록지 않다"며 "주변 역시 친구 사이의 모임까지 줄이며 생활비를 아끼고 있지만, 소득수준이 개선되지 않아 답답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실제 A씨처럼 생활고로 인해 적잖은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22년 정부가 발표한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청년 세대의 연평균 소득은 2천162만원에 불과했고, 부채는 1천172만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1인 청년 가구의 소득은 특히 더 낮았다.

작년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3 통계로 보는 1인 가구'를 보면, 2022년 1인 가구의 가구당 연평균 소득은 3천10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인 6천762만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2023년 3월 기준 평균 보유자산도 2억949만원으로 전체 가구(5억2천727만원) 대비 40%에 수준에 머물렀다.

1인 가구가 주거와 식료품 구매 등에 쓰는 월평균 소비 지출액은 전체 가구의 58.8%(155만1천원)로 적지 않았다. 1인 가구의 주택 소유 비율도 30.9%로 전체 가구(56.2%)보다 훨씬 낮았다.

당시 국내 1인 가구 수는 750만2천가구로 전체 가구(2천177만4천가구)의 34.5%를 차지했으며, 39살 이하의 청년 세대는 전체 1인 가구 중 36.5%에 육박했다.

청년 세대 내부에서의 소득 격차도 벌어지고 있다.

2019년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청년층(19~34살) 저소득(소득 1분위) 청년층의 평균 소득(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은 84만9천원에 불과했다.

반면, 고소득(소득 5분위) 청년층은 655만6천원에 달했다. 이 두 그룹의 격차는 약 8배에 이른다.

자산 격차 역시 심화하고 있다. 저소득(2020년 총자산 기준 자산 1분위) 청년층의 평균 자산은 약 6천만원이지만, 고소득(자산 5분위) 청년층은 약 15억7천만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의 격차는 고용형태에 따라 큰 차이가 났다.

정규직 청년층 중 저임금 노동자 비율은 4.9%였지만, 비정규직에선 24.5%에 달했다. 국민연금 가입률에서도 정규직 청년층은 지속적으로 높아져 약 90%였지만, 비정규직 청년층은 30% 수준이었다.

전문가들은 양질의 일자리를 보장하는 것이 청년 세대의 소득을 올리고, 세대 내부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첫 걸음이라고 입을 모은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한 전문가는 "비정규직을 최소화하고 정규직을 늘려 고용과 소득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게 청년층의 소득 증진과 생활고 완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재 청년층에게 필요한 것은 고용 시장의 유연화가 아닌 확실하게 지속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를 보장하려는 노력"이라고 제언했다.

그는 "이와 함께 이미 벌어진 자산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보조금, 지원금 등의 정책적 노력도 동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비교적 낮은 소득을 벌어들이는 청년층이 사회적 박탈감과 좌절감을 느끼지 않도록 세심하게 정책을 설계하는 노력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의 한 청년단체 전문가도 "고용시장에서 일회성·저품질의 일자리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정부·기업의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일자리 수 그 자체를 늘리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지속 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보장하는 게 더욱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사회 내에서 고용 불안 문제가 해소되고, 청년층의 소득이 높아질 수 있다면 현재 겪고 있는 저출산·세대 갈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청년 세대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가 그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자 하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김원빈 기자 】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