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한국 식품(K-푸드)이 각광을 받고 있다는 소식에 반가움을 금할 수 없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K-푸드 수출액은 84억 8100만 달러(약 12조 1575억 원)에 달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것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엔 77억 8700만 달러였으니 무려 9%가량 증가했다.(관련기사: 경기신문 10월 29일자 4면, 전 세계에 위상 떨친 ‘K-푸드’ 저력… 수출액 ‘역대 최대’ 경신) 전문가들은 지금과 같은 상황이 이어진다면 2년 연속 100억 달러 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품목은 라면 등 가공식품이 가장 많았다. K-푸드 전체 수출액의 60%가 넘었다. 가공식품은 6.7% 늘어났다. 특히 라면은 11억3000만 달러를 수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4.5% 증가했다. 아이스크림(24.2%)과 믹스커피를 비롯한 커피조제품(15.8%)도 눈에 띄게 늘었다. 수산물 중에서는 ‘검은 반도체’라고 불리는 김이 14.0%나 증가했다.
이처럼 K-푸드가 해외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K-콘텐츠 흥행과 연계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도 지난 2020년 한식진흥법을 제정하는 등 한식 세계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우리 기업들 역시 현지화 전략을 펼치며 세계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했다. 그러나 역시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K-팝, K-드라마였다.
제72회 칸 영화제(2019)에서 황금종려상(봉준호)을 받은 데 이어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2020)에서 작품상(곽신애·봉준호), 감독상(봉준호), 각본상(봉준호·한진원), 국제장편영화상(봉준호)을 받은 영화 ‘기생충’의 짜파구리가 인기를 끌며 라면 수출을 견인했고,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2021년)에서는 달고나가 또 하나의 한류가 됐다. 로제의 K-팝 ‘아파트’(2024년)와 올해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크게 흥행하면서 K-푸드가 또 다시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특히 라면과 김의 경우 애니메이션 영화 ‘케데헌’ 속 K팝 그룹 헌트릭스의 멤버 루미, 미라, 조이가 컵라면과 김밥을 먹는 장면이 관심을 끌면서 K-푸드 확산에 크게 기여했다. 신드롬이라고 불릴 만큼 많은 팬이 있는 이 작품 속 인물을 따라 하는 어린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헌트릭스가 컵라면을 한입에 먹는 장면도 있는데 이를 따라 하는 영상이 온라인상에서 확산될 정도다. 이에 뉴욕타임스(NYT)는 ‘컵라면 화상’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는 한 어린이 병원 측의 성명서를 보도하기도 했다.
‘물 들어올 때 노 저으라’는 말도 있듯이 정부도 이 좋은 기회를 K-푸드 위상을 강화하는 계기로 만들고자 적극 노력하고 있다. 올해 20년 만에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는 K-푸드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CJ제일제당, 농심, 교촌F&B 등 29개 기관·기업을 K-푸드 공식 협찬사로 지정했다. APEC에서 K-푸드를 적극 홍보한 이유는 상위 10개 수출국 가운데 9개국(미국·중국·일본·베트남·태국·대만·필리핀·러시아·홍콩)이 APEC 회원국이기 때문이라고 정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20개 APEC 회원국(우리나라는 제외)에 대한 수출 비중이 전체의 81.5%나 된다고 부연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미국 CNN 방송에 출연해 경주빵을 먹으면서 안동 사과와 제주 귤, 김밥, 약과 등의 음식을 소개하기도 했다. “한국 음식도 많이 드시고 한국 문화도 많이 체험하며 행복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004년 한식을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모범식으로 선정한 바 있다. 김치는 2006년 미국 전문잡지 ‘Health’가 세계 5대 건강식품의 하나로 꼽았다. 그동안 이루지 못했던 한식 세계화도 눈앞에 있다. 하지만 아직도 일부 K-푸드만 알려졌을 뿐이다. 지난 2009년 ‘한식 세계화 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지금까지 많은 예산을 쏟아 부었음에도 말이다. 거듭 말하지만 한류가 급부상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적극적으로 한식의 세계화를 추진할 때다. 체계적인 법과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코스닥 상장 도전 '아기상어' 제작사…관건은 신규 IP와 '생애주기' [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7O9U5T_1.jpg)
![[세계의 한입] ⑤ "K-디저트 가로막는 유제품 검역…시장 분석 필요"](https://img.newspim.com/news/2025/11/02/2511021748036460_w.jpg)
![[AI의 종목 이야기] 인도 소비세 인하에 축제 시즌 소비 폭증](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