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대상 인증 획득 지원 확대
AI 챗봇·설명회 등 통해 실시간 상담
전담 대응반·관세 자문 서비스 가동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정부가 미국의 관세조치 등 해외 수출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소기업 지원을 대폭 강화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수출규제 피해 최소화를 위해 '해외수출규제대응 지원사업'을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확대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사업에는 추경 예산 100억원이 투입된다. 중기부는 이를 통해 해외규격인증 획득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300곳에 시험·인증·컨설팅 비용의 50~70%를 보조하며, 기업당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한다.

특히 소액인증 지원 한도는 기존 35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한시 상향했다. 기존 사업 참여 기업도 예외적으로 중복 참여가 가능하다.
인증 초보기업을 위한 새로운 제도도 신설됐다. 인증 사전 심사·진단 제도를 통해 전문가가 개별기업의 준비상황을 점검하고, 부족한 사항을 사전에 보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인증 실패에 따른 손실을 줄이고 진입 장벽을 낮추겠다는 취지다.
또 관세사 등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 대응반을 운영해 미국 관세정책을 포함한 각국의 수출규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신속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중기부는 AI 챗봇 상담 시스템도 함께 구축해 24시간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국 15개 지역에서 순회 설명회와 전문가 대면 상담도 병행할 예정이다.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은 오는 27일부터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순배 중기부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최근 미국의 관세조치가 기업들에 중대한 도전이 되는 동시에 새로운 시장 진출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며 "우리 중소기업들이 성공적인 해외인증 획득 등을 통해 수출을 다변화하고, 경제 영토를 확장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늘려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