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硏 "71조 규모 액티브 ETF 시장…주식형 비중 9% 불과"

2025-10-04

(조세금융신문=송기현 기자)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 액티브형이 성장하려면 주식형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재칠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발간한 '액티브 ETF의 부상과 과제' 보고서에서 이같이 말했다.

국내에서 액티브 ETF는 지난 2017년 채권형을 시작으로 다양한 유형의 상품이 출시됐다. 주식형 ETF는 2020년부터 나왔다.

액티브 ETF 순자산 총액은 주식형이 출시되기 시작한 2020년 말 기준 2조1천억원이었으나 2025년 5월 말에는 70조9천억원으로 불어났다.

같은 기간 국내 ETF 시장에서 액티브가 차지하는 순자산 비중도 4.1%에서 35.5%로 커졌다. 그러나 국내 액티브 ETF의 자산 유형은 글로벌 시장과 차이가 있다.

글로벌 액티브 ETF 시장에서는 주식형의 비중이 60%를 넘어섰으나, 국내에서는 채권형과 채권혼합-파생형이 액티브 ETF 시장에서 75.8%를 차지하고 있다. 주식형은 9.0%에 그쳤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이처럼 주식형이 액티브 ETF의 주력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요인으로 ▲패시브 주식형 ETF와의 경쟁 ▲액티브 운용의 장기 성과가 패시브에 미치지 못한다는 우려 ▲추종 지수와 상관계수 유지 의무 등과 같은 규제로 자산 운용사의 상품 설계 및 운용의 제약 등을 꼽았다.

그러면서 주식형이 액티브 ETF의 핵심으로 부상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산 운용사가 장기 운용 성과 및 상품의 다양성·혁신성 등에서 패시브 주식형 ETF 대비 우수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그는 규제 환경 측면에서는 등록 및 상장 심사의 간소화, 운용 및 관리 편의성 제고, 출시 경로 다양화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액티브 ETF는 시장의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는 상품이어서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따라 상품 설계와 출시가 빨라야 한다"며 "레버리지·인버스 등 복잡하면서도 위험성이 큰 ETF에 대해서는 엄밀한 상장 심사 과정을 적용하고, 일반적 구조의 ETF에 대해서는 상장 심사 과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자산 운용사들이 적시에 상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액티브 주식형 ETF에선 추종 지수와의 상관계수 유지가 쉽지 않고, 그 결과 운용 전략 수립 및 종목별 가중치 변경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다"며 "대부분 국가에서 액티브 ETF는 특정 지수의 방향성을 추종하지 않고 있어 국내도 액티브 ETF에 대한 추종 지수와의 상관계수 유지 의무를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아울러 그는 "일반 펀드 시장에서는 운영 성과가 우수한 펀드도 오랜 기간 자금 유출에 직면해 있다"며 "이런 펀드에 ETF share class(주식 클래스) 추가 또는 ETF로의 전환 기회가 주어진다면 기존 투자자들의 이탈 방지 및 신규 투자자 진입 효과가 클 것"이라고 조언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