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全공무원 AI, 행정 효율 극대화해야

2025-11-19

정부가 전 공무원 대상 인공지능(AI) 활용시대를 연다. 모든 국민의 AI 활용 환경 확보가 국정 목표이지만, 우선 공무원부터 안전하고, 자유로운 AI 활용을 시작한다. OECD국가 중 첫 시도이자, 전체 국가들 중에서도 유래가 일로 평가된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25일 범정부 초거대 AI 공통기반 서비스를 오픈한다고 한다. 통상 시범적용 같은 기간을 거치는 경우가 많지만 이번엔 곧장 정식서비스 개시로 잡았다. 대상도 중앙부처 뿐 아니라 지방정부까지 모든 공무원으로 한다.

25일부터 제공되는 공무원 AI서비스는 AI 플랫폼(삼성SDS 패브릭스, 네이버클라우드 클로바 스튜디오 등)과 거대언어모델(LLM) 서비스(삼성LLM,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오픈소스 모델 등)라고 한다. 공무원들은 자신이 필요하거나, 써보고 싶은 플랫폼이나 서비스를 골라 업무에 자유롭게 적용해볼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전에도 공무원들도 AI를 써오긴했다. 개방된 인터넷망이나, 개인 스마트기기를 통해 AI를 쓸수 있었다. 이젠, 업무망 따로 AI사용망 따로의 번거로움이 사라지는 것이 제일 큰 변화일게다. 안전이 보장된 정부망에서 AI를 자유롭게 사용함으로써 정부 업무 효율은 크게 높아지게 됐다.

국회를 통해서도 지적됐듯, AI사용시 필요한 내용 입력이 필수이기 때문에 보안이나 기밀을 요하는 정부 정보까지 유출될 우려가 컸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걱정없이 광범위한 AI 업무 활용이 가능해진다.

공무원 AI 활용은 두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우선은 AI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공무원 업무 효율과 정책 속도가 높아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거의 비슷한 형태 문서나 보고용 자료, 회의 자료를 찍어내듯 만들어내야 할 경우, AI도움이 클 수 있다.

또 다른 의미로는 공무원의 AI활용이 확대된다는 것은 정부 업무 데이터, 즉 공공데이터의 AI학습이나 데이터 정제·축적에 직접적인 효과를 낼 것이다. 즉, 공공 데이터의 정확성·신뢰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지게 되며, 향후 국가적인 데이터 자산으로서도 가치가 높아질 것이다.

이같은 공공의 이익이 높아지는 것은 정부의 제역할이기도 하다. 이번 범정부 AI서비스가 국민에 대한 행정· 산업과 경제에 대한 정책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나아가 민간 AI 산업과 영역 확장이라는 선순환을 이끌어내길 바란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