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연세대, 2025 오사카 엑스포서 'K-리빙랩' 선보인다

2025-09-11

연세대학교 기후적응 리빙랩 연구사업단은 17일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서 '기후적응과 재난 관리를 위한 리빙랩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 행사는 엑스포 주제인 '우리 삶을 위한 미래 사회 디자인'과 세부 주제인 '사람들의 리빙랩'의 취지를 실현하기 위해 마련됐다. 학술 교류를 넘어 기후 위기라는 전 지구적 문제에 시민이 주체가 되어 실천적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행사는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 소속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의 영상 축사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박영환 관장이 현장을 찾아 축사를 전할 예정이다.

개최 시점은 엑스포 '미래지구주간'의 첫날로, 주간 핵심 의제인 '생물다양성과 함께 미래세대를 위한 지구 보존'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이번 콘퍼런스는 '기후위기 대응과 생물다양성 보존'이 상호 의존적인 과제인만큼 리빙랩을 통한 기후적응 실천 모델을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프로그램은 △기후적응 리빙랩 △재난 대응 리빙랩 △기후적응 정책 리빙랩 △기후적응 의사결정 기술 리빙랩 등 4개 세션으로 구성된다. 각 세션에는 한국과 일본 기관이 참여해 각국 리빙랩 사례를 공유하고 동아시아 지역의 기후위기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연세대 기후적응 리빙랩 연구사업단은 국내에서 추진 중인 혁신적인 리빙랩 사례를 발표하며, 일본 주요 기관들도 자국의 선진 사례를 소개한다.

특히 일본의 대표 통신기업 NTT(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는 '긴급경보 시스템과 일본형 재난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기술 중심의 재난 대응 경험을 발표한다. 이 외에도 오사카대학은 '인프라의 민주화와 리빙랩'을, 일본 환경청은 국가 기후적응 플랫폼인 A-PLAT 사례를 통해 정책 연계 및 거버넌스 방안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태동 연세대 교수는 “이번 콘퍼런스는 대한민국이 선도하는 시민참여형 'K-리빙랩'의 혁신 사례와 접근법을 국제사회와 공유하는 전략적 플랫폼이 될 것”이라며, “학술 담론과 실천 경험을 결합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엑스포가 지향하는 미래 사회 비전을 구체화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권미현 기자 mhkwon@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