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타임즈]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센터장 김윤재)는 국립해양조사원,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공동으로 11일부터 12일까지 충북 오송 에이치호텔에서 ‘제7회 천리안위성 2호(2A·2B호) 융복합 활용 콘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천리안위성 2호의 운영, 품질관리, 융복합 활용 확대를 위한 협력 강화 및 부처 간 정보 공유의 장으로 마련됐다.
2019년 시작된 학술회의는 올해로 7회 차를 맞이하며 기상·해양·환경 분야의 위성정보 활용 협력을 심화할 예정이다.
첫째 날인 11일에는 우주항공청,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관계자가 각각 ‘우주항공청 인공위성 추진 전략’, ‘국가공간정보 플랫폼 운영 현황’, ‘재난분야 위성 활용 계획’을 발표한다.
이어 참여기관들은 천리안위성 2호의 융복합 활용 현황, 검보정 연구, 학연 협력 사례 등을 공유한다.
둘째 날인 12일에는 실무회의가 열려 융복합 활용 확대 방안, 자료 품질관리 기술 공유, 공동 발전 전략을 논의할 계획이다.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는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천리안위성 2A호의 위험기상(태풍·호우구름·안개 등) 탐지 및 지면 정보(일사량·지면온도 등)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예보관들에게 실시간 위성 분석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태양광 발전시설 지원을 위한 AI 기반 일사량 정보도 추가할 예정이다.
김윤재 센터장은 “이번 행사가 미래 기술 발전에 따른 천리안위성 2호의 다분야 활용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진천 공진희기자 gini1@cc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