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출장 잡아줘" 말에…AI실장, AI비서에 일 시킨다 [MS 본사 르포]

2025-03-31

“이 곳은 세상에서 제일 조용한 공간입니다. 30초만 지나도 위장이 요동치는 소리가 아주 크게 들릴겁니다.”

지난달 1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레드몬드에 위치한 마이크로소프트(MS) 본사. 회사 관계자는 하드웨어 디자인 연구소 깊숙한 곳에 위치한 무반향실(Anechoic Chamber)을 보여줬다. 무반향실은 소리의 반사를 최소화하도록 설계한 특수한 실험실이다. 소프트웨어 뿐 아니라 노트북과 태블릿, 키보드 등 하드웨어도 만드는 MS는 하드웨어에서 나는 소리를 정확히 측정하고 개선하기 위해 이 공간을 만들었다.

사방이 뾰족한 흡음재로 둘러싸인 이 곳의 소음 정도는 22.3 데시벨(dB). 초저소음 기네스 기록까지 갖고 있다. 일반적 환경의 소음은 약 60 dB, 속삭임은 약 30 dB 정도다. “10분만 지나면 혈액이 뇌로 흐르는 소리까지 들린다”는 게 MS 측의 설명이다. 소리조차 사용자 경험의 일부로 여기고 치밀하게 설계하는 모습이었다.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은 MS는 지난달 18~20일(현지시간) ‘이노베이션 캠퍼스 투어’를 열고 글로벌 언론 20여 곳 기자들을 초청해 내부 시설을 공개했다. 이날 방문한 MS 본사의 넓이는 약 210만㎡로, 한강 둔치를 포함한 여의도 면적의 절반 정도였다. 영국 BBC,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 등이 참석했고 한국에서는 중앙일보만 초청받았다.

이날 둘러본 MS 캠퍼스 곳곳엔 ‘벌 호텔’이라고 부르는 상자 10개도 설치돼 있었다. 식물 꽃가루를 옮기는 역할을 하는 벌은 생태계 건강상태 가늠자로 꼽힌다. MS는 캠퍼스 내 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봄, 여름, 가을마다 꿀 샘플을 체취해 DNA 분석을 한다. 1년에 벌에서 얻어지는 꿀만 총 27~54㎏. MS 관계자는 “레드몬드 캠퍼스는 도시 숲으로 분류될 만큼 녹지가 많다”고 말했다.

“그 파일 뭐더라” AI의 독심술

윈도(Window)와 엑셀·워드 같은 오피스 제품을 통해 개인용 PC 시대를 연 MS는 AI 시대에도 일상과 업무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AI 플랫폼을 만들려고 한다. 모든 사람들이 윈도 처럼 MS가 만든 코파일럿(Copilot)을 가지고, 다시 이 코파일럿이 수많은 AI 에이전트(비서)들을 관리하는 것. 이게 MS가 그리는 AI 시대의 모습이다. 코파일럿은 MS가 2023년 발표한 AI 기반 맞춤형 도우미다. AI 에이전트가 각각 청소, 설거지, 빨래 등 기능에 특화된 직원이라면 코파일럿은 이들을 총괄 관리하는 비서실장이라고 볼 수 있다. 리처드 라일리 MS 로우 코드-에이전트 플랫폼 총괄 책임자는 “코파일럿이 다른 에이전트를 호출하는 식으로 작업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MS는 이런 미래를 ‘에이전트 웹(Agentic Web) 시대’로 정의했다. 지금처럼 계좌이체 할 때 금융 앱을 열고, 쇼핑할 때 별도 쇼핑 앱을 여는 것과는 다를 거라는 게 MS의 설명이다. 사용자가 앱을 하나하나 열 필요 없이 AI 에이전트가 의도를 파악해 필요한 작업을 대신 연결하고 수행해준다. 예를들어 “다음 주 출장 일정 잡아줘”라 말하면 에이전트가 캘린더를 확인하고 항공권을 검색한 뒤 예약하고 결제까지 처리하는 식이다. 항공권 검색, 예약, 결제까지 각각 에이전트들이 존재하고, 이 에이전트들이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코파일럿이 관리할 수 있다는 것.

특히 코파일럿을 업무 시스템에 적용한 ‘M365 코파일럿’은 이메일, 캘린더, 문서, 회의 내용 등 사용자의 업무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연결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날 공개한 시연에서 사용자가 “출장에 다녀왔더니 메일이 쌓여 있는데, 뭐부터 봐야 할지 모르겠다”고 하자 코파일럿은 조직 내 상사나 주요 프로젝트 관련자에게서 온 메일, 마감 일정이 임박한 메일 등을 상단에 자동 정렬했다. 고객에게 온 메일에 답장하기를 누르니 어떤식으로 쓰면 좋을지 초안도 잡아줬다.

신경망처리장치(NPU)가 내장된 ‘코파일럿 +PC’를 이용하면 코파일럿 기능을 인터넷 연결 없이 노트북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최근에 편집한 그 프레젠테이션 파일, 어디에 저장했더라” 시연자가 중얼거리듯 말하자 마음을 읽은 듯 코파일럿 PC에서 리콜(Recall) 기능이 즉시 실행됐다. 단순한 파일명 검색이 아니라, 사용자가 최근 열어봤던 문서와 앱, 웹페이지를 시간순으로 보여줬다. 사용자가 기억한 단서는 단 하나, “슬라이드에 손글씨가 있었던 것 같다”는 것. 이를 얘기해주자 리콜은 문서 내 필기체를 분석해 해당 슬라이드를 포함한 문서를 정확히 띄워줬다.

자체 칩 개발 한창

이날 방문한 MS 캠퍼스 내 50번 건물 ‘실리콘 랩’에서는 MS가 2023년 공개한 자체 AI 칩 ‘마야’와 ‘코발트’ 개발이 한창이었다. 제품 불량을 검사하고, 실제 기기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실시간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로봇 팔이 자동으로 움직이며 ‘코발트 100’ 칩을 집어 올리고 테스트하고 있었다. MS 관계자는 “칩 테스트 및 설계 검증을 우리가 한 뒤, 대량 생산은 TSMC가 담당한다”며 “패키징을 담당하는 파트너는 한국 회사”라고 말했다.

시애틀(미국)=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팩플-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