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태자 ‘동궁’의 진짜 위치 찾았다

2025-02-06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신라시대 왕성에 태자가 살던 공간 ‘동궁’의 실제 자리가 확인됐다.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오는 2월 6일 낮 11시 서울 코엑스 스튜디오 159(서울 강남구)에서 신라왕경 핵심유적에서 지난 10년 동안 발굴조사한 성과를 총망라해 공개하는 「국가유산청이 새로 쓰는 신라사」 언론공개회를 연다.

이번 공개회에서는 신라 왕경 핵심유적 14곳 가운데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에서 주도적으로 추진해 온 신라 왕궁 ‘월성’과 ‘동궁과 월지’에 대한 발굴조사의 주요 성과를 의례, 기술, 공예와 예술품, 이렇게 모두 3가지 주제로 나누어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이 직접 설명할 예정이다.

첫 번째 주제인 ‘의례’에서는 신라 왕성인 월성의 성벽을 쌓아 올릴 때 견고한 축조를 바라며 50대 남녀를 제물로 쓴 인신공희(사람을 제물로 바쳐 제사를 지낸 의식)(2017), 월성 해자에서 의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축소 모형 목재 배 발견(2019), 월성 내 사로국 시기의 의례 유구(2024) 등 그동안 월성에서 밝혀낸 의례와 관련한 굵직한 발굴 성과들을 되짚어 보고, 최근 추가로 찾아낸 미공개 의례 유물들도 새롭게 소개한다.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지난해 10월 의례 제물로 바쳐진 개를 공개한 이후 12월까지 진행된 추가 조사에서 개 한 마리를 더 확인했으며, 그 주변에서 수정 목걸이가 담긴 나무상자와 둥근고리칼, 상어 이빨과 함께 1,200여 알이나 되는 콩들도 더 발굴했다.

* 사로국 시기: 진한 12국 중 하나로서, 경주 일대에 형성된 초기국가 단계(서기전 1세기~서기 4세기 중엽)

특히 당시의 고급품인 옻칠된 나무상자 속에서 확인한 수정 목걸이는 수정이 꿰어진 실까지 함께 발견되어 상태가 매우 양호한 편이라 향후 사로국 시기 신라의 의례 모습을 밝히는 주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는 통일 이후 기술력으로 완성된 신라 왕경의 면모를 ‘기술’에 집중해서 살펴보는 자리다. 신라 왕경의 토목기술이 집약된 것으로 알려진 태자의 공간인 동궁이 그동안 알려졌던 것처럼 월지의 서편에 있는 대형 건물지(Ⅰ-가지구, A건물지)가 아니라 월지 동편(Ⅱ-나지구)라는 새로운 사실과 그 근거를 공개한다.

기존에 동궁으로 추정했던 곳(월지 서편)은 월성의 동쪽에 있어 동궁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주변보다 높게 조성된 대지 위에 있고, 건물 자체의 위계도 높은 점 등으로 보아 동궁으로 확정을 짓기는 어려웠다. 그런데 최근 조사로 월지 동편에서 서편보다 한 단계 낮은 위계의 건물을 추가로 확인함에 따라 이 월지 동편 건물터를 동궁으로 보고, 당초 동궁으로 추정했었던 월지 서편 건물터는 임금의 공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이 두 공간이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월지 동편에서 동궁으로 새롭게 확인된 곳(Ⅱ-나지구)에서는 복도식 건물에 둘러싸인 건물터와 그 앞에 펼쳐진 넓은 마당시설, 내부에 별도로 조성된 원지(정원 안의 못)가 함께 확인되었다. 또한, 이 동궁의 원지가 기존 ‘동궁과 월지’와 연결되지 않고 별도로 운영되어 독립된 배수 체계를 갖춘 사실도 밝혀내었다.

* Ⅱ-나지구 건물터: 정면 5칸(25m)×측면 4칸(21.9m), 내부의 기둥을 없앤 감주(減柱)시설, 일정시점 월대 공간 증축(기둥 이동 흔적 확인), 계단지 5곳 확인

* 원지 : 양식이나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정원 안의 못으로, 보통 건물터 앞에 있음.

이러한 사실을 통해 신라인들의 토목기술과 함께 현재까지 알려진 ‘동궁과 월지’를 완전히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공예 및 예술품(디테일)’ 발표에서는 앞서 월지 주변의 출토 유물로만 알려진 바 있으나 이번에 ‘진짜 동궁’이 발견됨에 따라 출토 위치가 ‘진짜 동궁’의 북쪽 생활공간으로 확인된 상아 주사위(2017), 선각단화쌍조문금박(2022)의 특수성을 재조명해 본다. 동궁의 생활공간에서 출토된 만큼 으뜸 수준의 고급 놀이기구와 신라 공예문화를 대표하는 유물들을 통해 태자가 기거한 동궁에서 일상을 들여다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번 성과 공개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054-778-8716)로 문의하면 된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