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공군 땜에 전사했는데”…중국산 조화 구매하는 보훈부, 수년째 ‘수수방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2025-10-05

“중공군 때문에 전사하셨는데 어떻게 중국산 플라스틱 쓰레기를 바칠 수 있습니까.”

추석 같은 명절을 앞두고 국립서울현충원에 모신 할아버 묘를 찾아 참배했던 김씨가 현충원에서 구매해 헌화한 조화가 중국산이라는 얘기를 듣고 놀라서 보인 반응이다.

국립서울현충원 구매해 묘 곳곳에 꽂아둔 형형색색 꽃은 모두 플라스틱 조화다. 특히 이들 조화 10개 가운데 9개 이상은 중국산 제품이다. 6·25 남침 배후인 중국에서 수입한 가짜 꽃을 헌화하는 건 국격 훼손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국가보훈부는 값싸고 오래 간다는 이유로 수년 째 대량 구매해 순국선열 추모에 중국산 조화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 따르면 국립서울현충원이 지난 2020년부터 2025년 7월까지 구매한 꽃(조화+생화)은 50만 6151개로 이 중 50만 1500개가 조화로 대부분 중국산이다.

국가보훈부 관할 국립묘지에서 가운데 국립현충원이 가장 많은 조화를 구매했다.

지난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6년여 간 국가보훈부 관할 국립묘지에서 사들인 헌화용 꽃은 61만 3511개로 금액은 10억 7483만 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생화는 7만6254개(12.4%)이고 조화는 53만 7257개로 조화 구매 예산은 9억 6116만원(89.4%)이다.

같은 기간 국립서울현충원이 구매한 조화는 50만 2849개로 93.6%를 차지했다. 구매 금액은 8억 9473만 원에 달한다. 뒤이어 국립민주묘지가 2만 7504개(5.1%)를, 국립호국원이 6904개(1.3%)를 구매했다.

강민국 의원은 “한국화훼자조금협의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조화는 매년 중국에서 2000t 이상 수입되는데 국내 유통 조화의 99%는 중국산”이라며 “국립현충원에 안장된 순국선열 중에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에 희생 당하신 분들이 상당수 존재하는데 혈세를 들여 중국산 조화를 구입해 헌화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심지어 지난 2024년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을 앞두고 국립서울현충원이 무명용사 추모비에 중국산 무궁화 조화를 헌화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6·25전쟁 당시 한반도 공산화를 막으려다 전사한 국군·유엔군은 17만 8000여 명이다. 상당수가 30만명에 이르는 중공군에 의해 전사했다. 그러나 국립서울현충원은 비용 절감 등을 이유로 중국산 조화를 헌화했다.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탑 지하엔 호국영령 무명용사를 기리는 비석(碑石), ‘영현승천상’이 있다. 전사자들의 영혼이 하늘로 올라가는 모습을 조각한 영현승천상 밑엔 6·25전쟁 중 전사했으나 신원을 확인하지 못한 유해 5831위(지난 3월 기준)가 안장돼 있다. 당시 이 비석 옆에 각각 국방부 장관, 국립서울현충원장 명의로 1년 내내 놓여 있는 조화가 모두 중국산이었다.

보훈 선진국은 국가를 위해 헌신한 무명용사에게 국가 최고 의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영국 웨스트민스터 사원 바닥에 있는 무명용사비는 국왕을 비롯한 그 누구도 밟지 못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중국에서 수입되는 플라스틱 조화는 분해되지 않은 채 막대한 쓰레기로 버려지고 이를 처리하는데 큰 비용이 들어가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020년~2025년 7월까지 국립묘지에서 발생한 폐조화는 총 1043t이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소요된 비용은 총 3억 5939만 원이다.

물론 생화에 견줘 저렴하고 오래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오랫동안 햇볕을 받으면 미세 플라스틱을 발생시켜 인체와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폐기하기 위해 소각하면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도 발생된다.

국립현충원의 경우 최근 6년새 발생한 폐조화 쓰레기는 무려 574t이다. 처리 용역비도 2억 73만 원에 달한다. 국립현충원의 폐조화 발생량도 매년 증가 추세다.

사실 국가보훈부 산하 국립현충원 국립민주묘지, 국립호국원 등의 중국산 조화 논란은 처음이 아니다. 수년 간 국회 국정감사 때마다 수십 억대 예산을 들여 중국산 조화를 구매하고 다시 수억 원을 투입해 폐조화를 처리한다는 지적을 받아오고 있지만 국가보훈부는 수수방관 하는 모습이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부 관계자는 “친환경 소재 조화 교체 시범사업 추진 등 국립묘지 내 플라스틱 조화 사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찾고 있다”고 했다. 국립묘지에서 플라스틱 조화를 근절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국가보훈부는 2024년부터 생화에 특수 보존액을 입혀 장기 보존이 가능한 친환경 ‘가공화’(프리저브드 플라워)를 헌화하는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관계자는 “국가가 관리하는 국립현충원 등이 혈세를 들여 수년 째 중국산 조화를 구입해 헌화하는 것은 전형적인 복지부동으로 비판 받아 마땅하다”고 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