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생 비자 취소 남가주서도 잇따라…UCLA 발표 이후 100명 넘어

2025-04-18

UC어바인·채프먼 등도 확인

학교에선 법률 자문 등 도움

트럼프 행정부가 ‘반이스라엘, 친하마스’ 시위 등 정치적 활동에 참여한 유학생들의 비자를 잇따라 취소하는 가운데 가주에서도 100명 이상의 유학생이 학생 비자(F-1) 또는 졸업 후 현장 실습(OPT) 비자를 취소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유학생 비자를 담당하는 국무부 등 연방 당국은 관련 조처를 계속 강행할 뜻을 밝혀, 앞으로 취소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17일 KCAL, KTLA5 등에 따르면, 연방 정부의 유학생 비자 취소 사례는 UCLA, UC어바인, 캘스테이트 풀러턴, 채프먼 등 남가주 주요 대학으로 확산하고 있다.

남가주의 유학생 비자 취소 논란은 이달 초 UCLA 재학생 및 졸업생 12명의 비자가 취소되면서 본격적으로 불거졌다. 〈본지 4월 8일자 A-2면〉 지난 6일 UCLA 훌리오 프랭크 총장은 교직원과 학생에게 서한을 발송해 “학생 비자(F-1) 소지 재학생 6명, 졸업 후 현장 실습(OPT) 중인 졸업생 6명 등 총 12명의 비자가 취소됐다”고 밝혔다.

이후 남가주 지역 주요 대학들도 확인 작업을 벌였고, 상당수 유학생이 비자를 취소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5일 캘스테이트 계열 대학은 올해 지역별 대학에서 유학생 총 70명의 학생 비자가 취소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16일 캘스테이트 풀러턴 측은 유학생 4명의 학생 비자가 취소됐다고 전했다. 특히 이 대학 측은 해당 유학생의 학생 비자 취소와 관련해 정부 기관으로부터 사전 통보도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채프먼 대학 측도 지난주 대학원생 2명, 박사 후 과정 1명의 학생 비자가 취소돼, 해당 학생들이 고국으로 돌아갔다고 전했다. UC어바인에서도 유학생 비자 취소 사례가 보고됐다.

가주 검찰도 지난 11일 보도자료를 통해 UC계열, 캘스테이트 계열, 스탠퍼드대학 등에서 유학생 100명 이상의 비자가 취소됐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국토안보부(DHS)는 유학생 및 교환 방문자 정보시스템(SEVIS)을 감독하며, 국무부와 협력해 유학생 비자를 취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CNN은 이달 초까지 법원 제출 서류, 80여 대학 성명 등을 토대로, 올해 들어 전국에서 유학생 비자를 소지한 학생, 강사 및 교수, 연구원 등 525명의 비자가 취소됐다고 전했다. CNN은 트럼프 행정부의 유학생 추방이 정치적 시위 이슈 외에 음주운전 등 경범죄까지 문제 삼고 있다고 덧붙였다.

남가주 대학들은 유학생 비자가 취소된 학생과 연락을 취하고,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추방된 유학생은 학업 유지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한다.

최근 롭 본타 가주 검찰총장 등 19개 주 검찰총장들은 유학생 비자 취소가 헌법을 위배했다며 연방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