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쿠팡, 中 알리·테무와 다를 것 없다...가품 근절 위해선 ‘처치’ 아닌 ‘예방’ 필요

2025-02-21

쿠팡, 가품 영양제 판매로 논란

가품 문제 쿠팡 뿐 아니라 이커머스 업계 내 '고질적 문제'로 자리잡아

정부·지자체 및 업계, '한 마음'으로 소비자 안전 '예방' 위해 힘써야

[녹색경제신문 = 서영광 기자] 국내 이커머스 1위 쿠팡에서 최근 ‘가품’ 영양제가 판매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얼마나 패키징을 잘 흉내 냈는지, 각 제품을 따로 놓고 볼 땐 진품과 가품의 차이를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이번 피해자 역시 ‘가짜 영양제’를 먹고, 간수치가 기준치의 2배 이상 오르고서야 문제를 알게 됐다고 한다.

또한 가품 문제가 발생한 것은 쿠팡뿐만이 아니다. 한 소비자는 최근 온라인 명품 전용 플랫폼에서 상품을 구매해 선물했는데, 선물 받은 사람이 사이즈 교환 과정에서 ‘가품’인 것을 알게 됐다고 한다.

판매자는 이미 자취를 감춘 채, 선물한 사람도 받은 사람도 민망하고 껄끄러움만 남았다고 일담을 남겼다.

한편 가품 문제는 지적재산권(IP) 침해 문제부터 상품 위해성 문제까지, 사소한 분쟁부터 심각한 사회문제로도 번질 수 있다.

그렇지만 이커머스 업계에선 오롯이 ‘관심’ 떠넘기기에 바쁘다. 마치 러시안룰렛처럼 ‘폭탄’이 우리 회사에만 터지지 않으면 된다는 태도다.

또한 업계에선 가품이 오픈마켓의 ‘고질병’이면서도, 쉽게 바꿀 수 없는 ‘특질’ 같은 것이라고 정당화하기도 한다.

한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오픈마켓의 특성이 판매자의 자율 판매로 이루어지는지라, 가품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며 “회사 차원에선 상시적인 필터링과 가품 판매자 등에 영구 판매 중지 조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업계의 이러한 안일한 태도와 솜방망이 조치 때문에 소비자 피해는 무차별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또한 정부와 업체 간의 긴밀한 소통과 협업이 없다면 ‘가품’ 문제에 대한 예방은 있을 수가 없음에도, 최근 정부 주관 안전성 검사는 중국 이커머스에만 치우쳐져 ‘가품’ 문제가 마치 이들에 국한된 문제처럼 비춰지기도 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소비자 안전은 국내외 이커머스의 경쟁에 ‘입맛대로’ 쓰일 대목도 아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초점이 맞춰져있다.

지자체들과 정부는 이들 상품의 ‘가품’과 ‘위해성’ 문제를 널리 홍보하고 있기는 하나, 소비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선 충분치 않아 보인다. 문제 발생 후 처치하는 ‘사후 조치’ 보다는 소비자 불안을 뿌리 채 뽑는 ‘사전 예방’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선 업계와 정부가 하나 되어 머리를 맞대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업계에서는 가품 문제를 업계의 ‘특성’ 혹은 일부 판매자의 ‘일탈’로 볼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책임’으로 가져가야 할 것이다. 기업은 오롯이 소비자의 신뢰와 수요를 기반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가품 문제를 보다 ‘심각한 사안’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서영광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