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통일 사례 통한 한반도 전략 분석
북한 주민 인권·자유 위한 정책 방향 모색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오는 15일 오후 2시 시청 다목적홀에서 '2025 북한인권 서울포럼'을 연다고 13일 밝혔다. 포럼에서는 '우리가 생각하는 통일 미래, 그리고 북한인권'을 주제로, 독일의 통일 경험을 중심으로 북한 주민들의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포럼은 남성욱 서울시 평화통일기반조성위원회 위원장이 진행하며, 게오르크 빌프리드 슈미트 주한 독일 대사, 이세키 요시야스 주한 일본대사관 정무공사, 김재천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이일규 전 쿠바 북한대사관 정무참사, 김민정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통일인권실 부실장, 송한나 북한인권정보센터(NKDB) 센터장이 참여한다.

포럼에서는 북한 주민들이 자유와 인권을 공평하게 누릴 수 있는 한반도 통일을 위한 정책 방향을 독일 사례를 통해 배우고, 북한인권 실상, 국제사회의 협력을 통한 인권 증진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또 슈미트 대사는 독일의 통일 과정에서의 대화와 교류, 경제적 지원 사례를 소개한다.
김재천 교수는 북한 인권과 통일 미래 담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통일이 세계 평화와 인류 공동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릴 예정이다. 김민정 부실장은 북한 당국의 정보 통제 현황과 정보 접근성을 통한 통일 기반 마련에 대해 전망한다. 송한나 센터장은 북한 인권 문제의 복합성을 강조하며 공동 대응의 필요성을 설명할 예정이다.
포럼 행사장에서는 북한인권 그림 전시도 열려 북한이탈주민 작가 3인의 작품을 통해 북한의 열악한 인권 실상을 간접 체험할 수 있다. 이지혜, 최성국, 강춘혁 작가는 각자의 독창적인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북한 실상을 전달한다.
'2025 북한 인권 포럼'은 서울시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되며, 다시보기 서비스도 제공된다.
곽종빈 행정국장은 "작년에 지자체 최초로 개최한 북한인권 서울포럼을 올해도 진행하는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서울시는 북한 인권·통일에 대한 시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