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은행 결제망이 빠르게 전환하기 시작했다. 국가간 글로벌 전문 체계가 ISO20022 표준의 데이터 전송방식으로 일제히 전환을 마치면서 블록체인 기반 원장 도입부터 각종 결제 지시의 디지털화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및 국내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2일부로 기존 메시지 전송 방식(MT)의 전문체계가 완전히 종료됐다. ISO20022 표준 도입 첫날 전체 결제 지시서의 97%가 새로운 표준 포맷으로 전송되고 있다고 SWIFT는 밝혔다. ISO20022 전환에 따라 금융거래를 위한 전문에는 송금인의 각종 데이터를 담을 수 있게 됐다.
전문 전송 방식 표준 마련은 국제 은행간 새로운 규칙을 추진하기 위한 시작 단계다. 내년 11월까지 전문 내에 주소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까지도 정제된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 도시와 국가 등의 정보를 구조화해 분리 기록하는 방식으로 전달하지 않으면 메시지 전송이 자동 거절된다. 자동 전환 지원을 위해 SWIFT에서는 자연어 처리(NLP) 기반의 오픈소스 AI 모델을 무료로 배포하기도 했다.
이번 표준화 작업은 단순한 데이터 포맷 통일을 넘어 기존 금융망에 블록체인 기술을 이식하기 위한 사전 작업의 성격이 강하다. 데이터가 구조화돼야 스마트컨트랙트와 같은 자동화된 블록체인 기술을 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SWIFT는 지난 9월 블록체인 기반 공유 원장을 공식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힌바 있다. 기존 SWIFT망의 보안성에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결합하려는 시도다. SWIFT의 블록체인 도입을 위한 개념증명(PoC)에는 이미 전 세계 16개국, 30개 이상의 은행이 참여 중이다. 국내에서도 신한은행이 참여 중이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기존 금융체계에 블록체인을 도입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 자금세탁방지(AML) 및 고객확인(KYC) 기능을 꼽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금융(DeFi)은 익명성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자금 추적과 규제 준수가 까다롭기 때문이다.
SWIFT가 ISO 20022는 물론 블록체인 도입에 속도를 내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에서다. 송금인의 신원과 자금 출처가 명확히 담긴 데이터를 스마트 컨트랙트가 자동으로 판독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최근 스테이블코인을 필두로 한 대체 결제 수단이 빠르게 시장에 확산되고 있는 흐름도 은행권의 빠른 움직임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스테이블코인 입법 논의가 더디게 진행되는 것 역시 제도권 금융의 동향을 살필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라면서 “단순히 빠른 제도화가 능사가 아닌 만큼 속도 조절이 필수”라고 전했다.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

![[단독] '카카오 코인' 개발 착수...김범수가 진두지휘](https://img.newspim.com/news/2025/10/28/251028183047062.jpg)
![[K-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밋 2025]김용진 NHN클라우드 실장, “2026년 공공 클라우드 대전환…'N2SF·무중단'이 표준될 것”](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5/news-p.v1.20251125.c90af248df6f4b6bb94c8c1038967fee_P1.jpg)
![[기고] 마이데이터 전 분야 확대, 개인정보 기본권은 어디에](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4/news-p.v1.20251124.24f52ac7859f4b5c8fdb2cd30561b6a4_P1.jpg)
![[단독]네파, 다음달 스테이블코인 지갑 띄운다](https://newsimg.sedaily.com/2025/11/25/2H0LB3A07Q_1.png)
![[르포]안경이 읽어주고, 얼굴로 결제했다…코리아핀테크위크가 그린 미래](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6/news-p.v1.20251126.c13eadbb00ee4f439c504458e0a68e1d_P1.jpg)
![딥서치, 법무법인 디엘지와 MOU…'인수 창업' 활성화 [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25/2H0LBLFFOG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