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밋 2025]김용진 NHN클라우드 실장, “2026년 공공 클라우드 대전환…'N2SF·무중단'이 표준될 것”

2025-11-26

“2026년은 공공 클라우드 시장의 근본적 체질이 바뀌는 '대전환의 원년'이 될 것입니다. 낡은 규제인 물리적 망분리가 '국가 망 보안정책(N2SF)'으로 대체되고, 재해복구(DR) 체계는 '멀티 리전' 기반의 완전 이중화(액티브-액티브)로 상향 표준화될 전망입니다.”

김용진 NHN클라우드 실장은 25일 전자신문이 개최한 'K-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밋 2025'에서 '2025년 정책 이슈로 바라본 공공 클라우드의 변화'를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김 실장은 내년 공공 시장을 관통할 핵심 키워드로 △국가 망 보안체계(N2SF) 전환 △재해복구(DR) 요건 강화 △국가 AI 전략위원회 중심의 거버넌스 통합을 꼽았다. 그는 “새 정부 출범과 최근 발생한 대형 장애 사건들이 맞물리며 정책과 기술 요건이 획기적으로 상향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가장 큰 변화는 보안 패러다임의 이동이다. 정부는 그동안 공공 클라우드 확산의 걸림돌로 지적되던 획일적 '물리적 망분리' 원칙을 폐기하고, 2026년부터 데이터 중요도에 따라 등급을 분류하는 'N2SF'를 본격 적용한다.

김 실장은 “기존 물리적 망분리는 보안성은 높았으나 AI와 클라우드 등 신기술 도입을 가로막고 비용 비효율을 초래했다”며 “데이터를 기밀(Classified), 민감(Sensitive), 공개(Open) 등급으로 나눠 차등 보안을 적용하는 N2SF가 도입되면 공공에서도 민간의 최신 AI 기술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경계 기반 보안에서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로 전환을 의미한다.

인프라 안정성 기준도 대폭 강화된다. 지난 9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은 공공 시스템의 취약한 복원력을 드러내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당시 배터리 교체 작업 중 발생한 화재로 정부24 등 700여개 시스템이 영향을 받았다.

김 실장은 “기존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G-클라우드'는 온디맨드(On-Demand) 자원 확장이 불가능한 구조적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며 “단순 백업을 넘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2개 이상의 리전에서 동시에 서비스를 가동하는 멀티 리전과 액티브-액티브 구조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재해 발생 시 '복구'하는 개념을 넘어 서비스 중단을 원천 차단하는 '연속성' 보장으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 AI 경쟁력 확보를 위한 민관 협력 모델도 구체화한다. 정부는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를 컨트롤타워로 삼아 2026년까지 역대 최대 규모인 26만장(정부 5만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확보할 계획이다. 특히 민관 합작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국가 AI 컴퓨팅센터를 구축하는 등 과감한 투자를 예고했다.

김 실장은 “공공은 정책과 감독을, 민간은 운영과 기술을 전담하는 형태로 역할이 재정립될 것”이라며 “단순 인프라 제공을 넘어 AI 모델 개발과 데이터 활용까지 지원하는 'AI 풀스택' 전략이 요구된다”고 분석했다.

NHN클라우드는 이러한 변화에 맞춰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김 실장은 “NHN클라우드는 판교, 평촌, 광주를 잇는 '멀티 리전' 체계를 완성해 액티브-액티브 구성이 가능한 국내 사업자”라며 “액침냉각 기반의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 B200 위주로 약 7600장 이상의 고성능 GPU를 확보해 국가 AI 인프라 수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아울러 그는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한국을 '피지컬 AI'의 거점으로 지목한 점을 언급하며, 제조·물류 등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AI 솔루션 확장 계획도 밝혔다.

김 실장은 “2026년은 공공 클라우드 시장이 N2SF와 고가용성 아키텍처를 중심으로 새롭게 정의되는 '골든타임'이 될 것”이라며 “단순히 시스템을 어디에 둘 것인가를 넘어, 향후 3~5년간 무엇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 로드맵을 다시 짜야 할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