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십자각]트럼프 주니어 방한 그 후…실리 따져야

2025-05-09

지난달 29~30일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의 면담 기업 명단에는 예상치 못한 이름이 등장했다. 한화·롯데·CJ·한진 등 미국에 제품을 수출하거나 미국에서 사업을 하는 대기업들 외에 국내 최대 부동산 개발 기업 엠디엠그룹이 포함된 것이다. 트럼프 주니어와 엠디엠그룹 측은 미국과 한국에서 부동산 개발에 적극 협력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주니어의 방한은 평소 친분이 두터운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가교 역할을 하며 성사됐다. 그는 백악관 내 직책은 없지만 ‘막후 실세’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이다. 취재진의 카메라를 피해 철저히 비공개로 일정을 소화한 그는 국내 주요 기업 관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자신의 사업에 투자할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의 본업은 ‘사업가’다. 그가 이끄는 ‘트럼프그룹’은 부동산·호텔·가상자산까지 다양한 분야에 250여 개의 계열사를 보유한 거대 기업이다. 그는 그룹 내에서 대규모 부동산 개발에 참여하며 핵심적 역할을 맡고 있다. 트럼프그룹은 두바이에 들어설 80층짜리 고급 호텔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상복합 건물, 카타르 골프장 및 빌라 단지 등의 사업을 진행 중이다.

심지어 트럼프 가문의 사업 확장을 위해 국제 외교 관계에까지 영향력을 행사하며 미국 내에서 이해 상충 논란까지 부르고 있다. 실제 트럼프 주니어는 지난달 세르비아를 방문해 반(反)정부 시위로 지지 기반이 약해진 알렉산다르 부치치 대통령과 만남을 가졌다. 미국의 세르비아 원조 문제를 논의했다지만 트럼프그룹이 세르비아 수도 베오그라드에 유럽 최초의 트럼프 인터내셔널 호텔 건설을 추진 중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거래 목적이 크다는 분석이다.

‘막후 실세’인 미국 대통령의 장남과 한 번 만났다고 해서 우리 기업들의 애로 사항이 단번에 해결될 수는 없다. 심지어 트럼프 주니어가 자신의 사업에 투자할 것을 제안했다는 점은 사업가로서의 그의 면모를 다시 한번 확인해주는 대목이다. 우리 기업들 역시 무엇을 주고 무엇을 받을지 실리를 따져야 할 때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