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2월부터 챗GPT 쓰는 기재부...정부 최초, 다른 부처로 확산할까

2025-02-05

기획재정부가 정부 부처 최초로 업무에 유료 인공지능(AI) 모델을 전격 활용한다. 생성 AI 모델을 공공 부문에서도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겠단 취지다. 국가 기밀 유출을 막기 위해 폐쇄형으로 운영하는 등 보안 대책도 마련했다.

5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기재부는 지난 3일부터 직원용 내부 인터넷 포털 상단에 ‘AI 허브’라는 이름의 채널을 새롭게 추가했다. AI 허브에 들어가면 미국 오픈AI가 개발한 생성 AI 모델인 ‘챗GPT’와 구글 대항마로 꼽히는 ‘퍼플렉시티’를 쓸 수 있는 창으로 연결된다. 두 가지 모두 유료 버전으로, 질문을 입력하면 AI가 답을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기재부의 업무용 생성 AI 도입은 정부 부처 중 최초다. 기재부 관계자는 “그간 직원들 사이에서 챗GPT를 업무에 활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아 오랜 준비 끝에 도입했다”라고 말했다. 기재부 한 사무관은 “그간 매달 2만9000원의 구독료를 내고 챗GPT를 개인적으로 이용해왔는데 내부 포털에서 쓸 수 있어 부담을 덜었다”고 말했다.

그간 공공부문에서 AI 활용을 꺼린 건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 탓이 컸다. 기재부는 국가정보원과 논의해 각종 보안 장치를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재부 포털 아이디가 있는 직원에 한해 접근할 수 있고, 기재부 건물을 벗어나면 사용할 수 없게 조치했다. 파일 업로드 기능은 원천 차단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정부의 공공 클라우드 사용 지침을 준수하는 선에서 도입했다”고 말했다. 향후 다른 부처로 확산될 지 주목된다.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공공부문이 보다 적극적으로 신기술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겠으나, 더 중요한 건 공무원들이 여러 기술을 써봐야 정책을 어떻게 만들어야 더 효과적일지 알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기재부가 도입한 AI 서비스는 모두 미국 기업들이 개발한 모델이다. 네이버나 SK텔레콤·LG 등 국내 기업이 개발한 생성 AI 모델이나, 중국 딥시크 R1는 포함되지 않았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