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백·피자헛 등 잇따라 폐점
소비자 외식 빈도 감소도 영향
배달·혼밥·테이크아웃 대세


#. 어바인에 거주하는 최재하 씨는 최근 가족의 외식 횟수를 대폭 줄였다. 물가상승 여파로 음식값이 오르면서 4인 가족 한 번 외식 비용이 팁 포함 100달러가 훌쩍 넘어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 한 끼를 먹더라도 독특한 경험을 선호하는 정수진 씨는 외식할 때 로컬 맛집을 찾는다. 체인 레스토랑은 ‘음식에 대한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말한 그는 소셜미디어에도 포스팅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때 미국 문화의 상징으로 불렸던 캐주얼 레스토랑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중산층이 즐겨 찾던 캐주얼 레스토랑들이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고 지난 4일 보도했다.
레드랍스터와 TGI프라이데이는 지난해 파산보호 신청으로 소비자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는 지난 한 해에만 41개, 애플비는 35개의 매장을 폐쇄했다. 피자헛은 2020년에만 300개 이상의 매장이 문을 닫은 후 배달전문매장을 늘려나가고 있다.
시장조사회사인 데이터센셜은 소비자의 24%가 캐주얼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이전보다 줄이고 있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캐주얼 레스토랑들이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외식 메뉴를 선택할 때 싼 가격이나 독특한 경험 중 하나를 원하는 소비자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또 고물가 시대 들어서면서 고객들이 패스트푸드보다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고 팁까지 줘야 하는 캐주얼 레스토랑을 찾지 않는 것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칠리스 같이 공격적인 할인 행사를 펼치면서 잠시 반등하는 레스토랑들도 있지만 캐주얼 레스토랑의 전체적인 하락세를 막기는 역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이후 음식 배달 혹은 테이크아웃 이용 빈도가 급격하게 늘어난 것도 캐주얼레스토랑들엔 악재로 작용했다. 매장에서 식사를 하는 외식 자체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데이터센셜의 조사결과에서도 친구나 가족과 외식하는 빈도가 줄었다는 답변은 29%에 달했다.
밀레니얼 세대들도 캐주얼 레스토랑을 기피하고 있다. 어디서나 볼 수 있기 때문에 ‘진정성’이나 ‘독특함’이 부족하다는 것이 이유다.
다프네 데메트리 캐나다 맥길 대학교 경영대학원 부교수는 “올리브 가든이나 TGI 프라이데이는 위선적”이라며 “식사를 통해 자신의 가치와 정체성을 드러내고 싶어하는 요즘 세대에게 캐주얼 레스토랑은 너무 인위적으로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국내 외식 산업의 상징이었던 캐주얼 레스토랑들이 이제는 생존을 위한 전환점에 서 있다”며 “달라진 소비자의 기준에 얼마나 빠르게 적응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조원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