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배터리 유럽서 ESS 신제품 첫 공개
유럽산 LFP 셀 기반 고에너지 솔루션
배터리 여권 시스템으로 ESG 선제 대응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은 7일부터 9일(현지시간)까지 독일 뮌헨 '메쎄 뮌헨'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유럽 2025'에 참가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 전시 주제는 '에너지로 세상을 깨우다, 언제 어디서나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다'로, 배터리를 통해 미래 가능성을 실현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지향하는 메시지를 담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전시에서 ▲현지 생산 역량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 경쟁력 ▲유럽 규제 대응력을 앞세워 차별화된 솔루션을 선보인다.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에 구축한 ESS 전용 라인은 올해 말부터 가동 예정이다. 현지 생산 기반으로 공급 안정성과 고객 대응력을 확보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유럽산 리튬인산철(LFP) 셀을 적용한 20피트 컨테이너형 전력망용 ESS 신제품을 처음 공개한다. 스택형 구조로 공간 활용도를 높였고, 냉각판과 열 차단 기술로 안전성과 효율도 강화했다.
해당 제품에는 브로츠와프 공장에서 생산 예정인 LFP 셀 'JF2S'가 적용된다. 이 셀은 기존 대비 약 2.7배 높은 에너지 용량과 1만5000회 이상 충·방전 가능한 초장수명을 갖췄다.
주택용 ESS 'JF1R'도 함께 공개된다. 유럽 현지 생산 기반으로 유럽연합(EU) 품질 기준에 부합하며, 설치가 간편한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으로 1명이 10분 이내 설치할 수 있다.
최대 15년 품질 보증이 제공되며, 자체 알고리즘을 통해 배터리 잔량 추정 정확도를 높였다. UPS(무정전 전원장치)용 고출력 배터리 시스템도 함께 전시된다.
UPS 시스템은 리튬이온 기반 고출력 성능으로 공간 활용도와 백업 전력 효율을 높였다. 사전 조립 출하 방식으로 설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독립 작동 가능한 전원장치를 통합해 안정성과 효율을 모두 확보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유럽연합 배터리 규제에 선제 대응해 '배터리 여권' 파일럿 버전도 첫 공개했다. 생산부터 폐기까지 생애주기를 디지털화해 배터리의 투명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인다.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자체 배터리 규제 관리 시스템(BRM)도 구축할 예정이다.
김형식 ESS전지사업부장(상무)은 "유럽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ESS 시장에 맞춰 고품질, 현지화된 제품으로 선제 대응하고 있다"며 "정책 변화에도 철저히 대비해 유럽 내 ESS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