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박찬대 "野 개혁 반대 시 표결로"…조국 사면엔 '답변 유보'

2025-07-29

(서울=뉴스1) 신웅수 기자 = 정청래(왼쪽),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들이 29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에서 열린 TV토론회에 참석해 기념 촬영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7.29/뉴스1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신웅수 기자

정청래·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기호순)가 내달 2일 당 대표 선출을 앞두고 치러진 마지막 TV토론회에서 선명성을 강조했다. 정 후보는 국민의힘 정당해산심판 청구를 거론했고 박 후보는 내란 청문회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검찰·사법·언론 등 3대 개혁에 야당이 반대할 경우 표결로 강행하겠다고 한목소리를 냈으며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사면과 관련해선 두 후보 모두 답변을 유보했다.

두 후보는 29일 밤 서울 마포구 MBC스튜디오에서 열린 민주당 대표 후보 TV토론회에서 첫 모두발언부터 내란종식을 강조하며 유권자인 당원과 지지층을 겨냥한 선명성 경쟁을 이어갔다.

정 후보는 모두발언을 통해 "내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윤석열은 탄핵·파면 됐음에도 지금도 수사에 응하지 않고 거부하고 있다"며 "국민의힘 연루자들이 얼마나 되는지 우리는 모른다.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개혁"이라고 강조했다.

박 후보는 "저 박찬대는 윤석열 탄핵과 3대 특검 출범, 내란종식 특별법, 김건희 특검 연장을 설계한 준비된 당 대표 후보"라고 소개했다. 또한 "윤석열과 김건희 등 모든 내란 세력이 다시는 햇빛을 보지 못하게 하겠다"며 "윤석열을 지키려고 했던 국민의힘 의원들을 제명하고, 검찰청도 추석 전까지 해체하겠다. 사법부 내란 세력, 전광훈과 같은 극우 폭동 세력도 절대 용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정 후보는 이어진 주도권 토론에서는 국민의힘에 대한 정당해산심판 청구 가능성을 거론했다. 정 후보는 "통합진보당 사례를 봤을 때 국민의힘은 내란당 혐의를 벗기 어렵다"며 "그래서 위헌 심판 청구로 정당해산을 할 수 있다는 국민적 요구가 올라올 것으로 보인다. 그 부분을 당 대표가 되면 잘하겠다"고 했다.

박 후보는 "(제가 발의한) 내란종식특별법으로 감옥에 있을 윤석열·김건희를 국회로 호출해 제2의 5공화국 청문회를 반드시 열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진실을 규명하고 국민 가슴의 응어리를 시원하게 풀겠다"며 "제가 검찰 과거사위원회도 만든다고 했었는데 '검찰 7대 정치조작 사건 청문회'를 9월과 10월 2주 동안 개최할 것"이라고 했다.

정 후보와 박 후보는 야당이 개혁 법안을 반대하면 당의 과반 의석수를 토대로 표결로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검찰·사법·언론 등 3대 개혁 법안에 야당이 반대하면 표결로 통과시켜야 한다'는 OX 질문에 나란히 'O' 팻말을 들었다. 반면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에 대한 사면·복권론에 대해선 두 사람 모두 답변을 거부했다.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박찬대(오른쪽),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신관 공개홀에서 TV토론회 시작 전 토론 준비를 하고 있다. 2025.07.29. [email protected] /사진=편집부

정 후보는 "사면은 민감한 사안이고 대통령의 고유한 권한이다. 당 대표 후보로서 이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했고, 박 후보도 "정 후보와 뜻이 모인 것 같다. 저희 둘 다 개인적인 생각이 있을 것인데 의견을 전달해야 한다면 (지금과 같은) 공식 석상은 아니어야 한다"고 말했다.

대의원 권한 축소를 두고는 견해차를 보였다. 정 후보가 "대한민국 모든 선거는 1인 1표인데 민주당 전당대회는 대의원은 17표, 권리당원은 1표다. 대의원제는 유지하되 가중치를 두는 것은 없애고 '1인 1표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하자, 박 후보가 "방향에 동의하지만 문제는 속도와 시기다. 의견을 수렴해서 결정하면 될 것"이라고 맞받았다.

이들은 '한일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과거사 청산이 선행돼야 한다' '신규 원전 건설은 필요하지 않다' '원화 스테이블 코인 발행이 필요하다' '국가 재정 지출은 최대한 높여야 한다' '차별금지법은 국민 공감대를 넓히는 작업이 우선 진행돼야 한다'는 데 대해 견해를 같이했다.

정 후보와 박 후보는 토론회 내내 '친구' '동지' 등의 단어를 언급하며 가까운 사이임을 강조했으나 은근한 신경전도 펼쳤다. 모두발언에서 "골든크로스(지지율 역전)는 이미 시작됐다"고 한 박 후보가 내란 청문회를 추진하게 되면 "정 후보가 청문회 특별위원회 위원장직을 수락해 주겠나"라고 묻자, 정 후보는 웃으며 "박찬대가 원하는 것이라면 뭐든지 다 하고 싶다"면서도 "제가 당 대표가 되면 박 의원과 함께 손잡고 (청문회를) 꼭 하겠다"고 응수했다.

두 후보는 취재진과 만나 각자 본인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정 후보는 '박 후보와의 차별점'에 대해 "제 성과라면 (대의원·당원) 1인 1표 시대를 열겠다는 점에 (박 후보가) 동의했고 전 당원 콘서트 부분에 부정적 의견을 갖고 있던 걸로 아는데 공감해준 부분"이라며 "당원 주권 시대를 열어야 한다는 점에 원론적으로 같지만 각론에서 차이가 날 줄 알았는데 아니어서 다행"이라고 했다.

박 후보는 "제가 조금 디테일에 강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그는 "개혁 법안, 내란 종식에 대한 의지는 같은데 어떻게 입법하고 정책으로 갈 것인가에 대해 (정 후보는) 원론적 얘기를 했고 저는 구체적으로 법안들을 나열했다"며 "정치 고관여층과 센스 있는 분들은 비교 우위에 있다고 생각해주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차기 당 대표는 내달 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전당대회서 결정된다. 앞서 민주당은 수해 피해지역 복구 활동을 위해 26·27일 각각 치르려던 호남권(광주·전북·전남) 및 경기·인천권 순회경선 일정을 내달 2일 서울·강원·제주지역 합동 순회경선과 통합해 치르기로 확정했다.

19·20일 열린 충청권(대전·세종·충북·충남) 및 영남권(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 순회경선에선 정 후보가 합산 득표율 62.65%로 37.35%의 정 후보를 앞서고 있다. 정 후보는 충청권에서 62.55%, 영남권에서 62.77%의 득표율을 각각 기록했다. 민주당의 이번 대표 선거는 권리당원 55%, 대의원 15%, 일반 여론조사 30%를 합산한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